
술에 취해 차량을 수미터가량 운전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에 대해 법원이 고의로 운전했다는 점이 증명되지 않았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9월10일 오전 5시쯤 충남 금산군의 한 식당에서 술을 마신 뒤 친구와 함께 식당 앞에 주차된 자신의 차에 탔다.
A씨는 차에서 자다 깨 근처에서 소변을 본 뒤 다시 탔는데, 이때 차량 브레이크등이 몇차례 켜졌다 꺼지기를 반복하다 갑자기 꺼지면서 차가 수미터 전진했고, 식당 앞에 놓여있던 화분과 에어컨 실외기 등을 들이받았다.
사고가 난 뒤에도 A씨는 친구와 계속 차 안에 머물러 있었으며, 이후 인근 상인이 이날 오전 7시30분쯤 차량을 발견, 경찰에 신고했다.
출동한 경찰이 음주 측정을 한 결과 A씨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면허 취소 기준(0.08%)을 넘는 0.130%였다.
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 혐의로 기소된 A씨는 재판 과정에서 “대리 운전이 잡히지 않아 차에서 잤고, 자다가 에어컨을 켜려고 시동을 건 기억은 있지만 운전한 기억은 없다”며 “아침에 일어나 보니 차가 가게 앞 물건을 들이받은 상태였다”고 진술했다.
대전지법 형사 11단독 장민주 판사는 당시 도로 상황과 대법원 판례 등을 토대로 최근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장 판사는 “해당 도로가 경사가 있는 내리막길인 점 등을 고려하면 실수로 기어 변속장치 등을 건드렸을 가능성이 있다”며 “피고인이 고의로 차량을 운전하려 했다면 사고가 난 뒤에도 그대로 방치한 채 계속 잠을 잤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앞서 대법원은 2004년 4월 움직이게 할 의도 없이 기어를 건드려 차가 움직이거나 불안전한 주차 상태와 도로 여건 등으로 움직였을 때는 운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선고한 바 있다.
검사는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