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기록계 0.05초 내 신호감지 ‘합격’
年 최대 1000대 검정 인력·장비 갖춰
2020년 6월 정식 개소한 국가지진계검정센터는 지진관측장비 성능이 법적 요건을 갖췄는지 검정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원전안전위원회(원안위)가 관리 중인 220개 지진관측소 장비 역시 지진계검정센터 확인을 거쳐야 한다.
14일 기상청과 원안위 등에 따르면 지진계검정센터에서 지진관측장비를 검정할 때 가장 중요한 값은 진동을 감지해 지진기록계에 신호가 얼마나 즉각적으로 입력되는지다. 적합한 지진기록계는 0.05초 안에 지진 신호가 들어와야 한다. 지진 탐지가 경보 발령과 대피 등 후속조치의 기본이 되는 만큼 시각오차 검정이 가장 중요하다.

원전 주변에 자체적으로 지진관측망을 확충하고 있는 원안위는 전국 원전 주변에 총 220개 지진관측망을 보유하고 있다. 기상청과 원안위는 올해 안으로 원안위의 220개 관측망을 모두 전국 단위로 통합 관리하는 국가지진관측망에 포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진계검정센터는 지진계의 관측이 제대로 이뤄지는지를 확인하는 등 지진관측망 확충의 핵심 역할을 맡는다.
실제 땅의 진동을 감지하는 지진센서는 크게 속도센서와 가속도센서로 나뉜다. 센터에서는 ‘가짜 지진’ 발생 상황을 만든 뒤 각 센서가 해당 진동을 제대로 감지, 표출하는지 확인한다. 현행법상 지진센서와 지진기록계는 5년마다 센터로부터 검정을 받아야 한다. 지난해의 경우 기상청 등 19개 기관 지진관측장비 773대를 검정한 결과 8%인 62대는 불합격해 교체나 수리 대상이 됐다.
이수영 지진계검정센터장은 “검정을 실시하면 통계적으로 6∼8%는 불합격 판정을 받는다”며 “기상청이 지진계 검정을 수행하기 위한 인력과 장비를 적극적으로 확보해줬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는 연간 최대 1000대 지진계를 검정할 인력과 장비를 갖췄다”고 덧붙였다.
센터에서는 국내 기업의 장비 국산화 개발을 지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센터장은 “새롭게 검정 의뢰를 받는 장비 외에도 기존에 사용되던 지진 관측 장비 점검도 진행한다”며 “2025년까지 전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지진 관측 장비 점검·인증작업을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