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지역 관측후 최대 3초내 발령
기상청이 전국에 지진 관측망을 더 촘촘하게 확충해 지진경보가 울리는 시간을 앞당길 계획이다. 인구가 많은 수도권이나 원자력발전소 밀집 지역은 지진관측소를 집중적으로 늘려 지진경보를 관측 후 3∼5초 안에 발령한다는 목표다.
기상청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관계 기관과 함께 전국에 461곳 지진관측소를 추가해 지진 관측망을 확충하겠다고 20일 밝혔다. 현재 전국에 균일하게 설치된 390곳 지진 관측망을 집중감시구역에만 329곳을 추가, 일반감시구역에도 132곳을 늘려 총 851곳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이날 발표된 국가 지진 관측망 확충 계획에 따르면 기상청은 집중감시구역에만 102곳, 일반감시구역에 82곳을 확충한다. 집중감시구역에는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과 경상권 및 전라권 원전 밀집 지역, 주요 단층 지역이 해당한다. 특히 원전이 모여 있는 지역에는 기상청 외에도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올해 지진관측소 220곳을 설치해 지진관측소 조밀도가 16.0㎞에서 7.2㎞로 촘촘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진계 간 평균거리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셈이다.
지진 탐지 시간은 집중감시구역 기준 지난해 기준 3.4초에서 2027년이면 1.4초로 2초가량 단축될 전망이다. 원전 밀집 지역 등은 지진이 발생하면 1초대 만에 이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진 탐지 시간은 경보 발령과 대피 시간 확보로 직결된다. 탐지 시간이 2초 단축될 경우 근거리 대피 가능 지역이 ‘진앙에서 36㎞ 이상 지역’으로 넓어진다. 현재는 진앙으로부터 40㎞ 이상 떨어진 지역부터 책상 밑으로 숨는 등의 대피만 가능하다.
조기경보 관련 연구들은 지진 발생 시 대피 정도에 따라 인명 피해를 80%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기상청은 규모 5 이상 지진 발생 시 최초 관측 후 5∼10초 내에 조기경보를 발령하는 것이 목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