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뇌피질에 미세한 구조적 변화…기분장애와 연관성”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비디오게임 등 온라인에 중독된 아이들은 우울감, 불안 같은 ‘기분 장애’가 나타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이 아이들은 짧은 시간 내에 뇌의 겉 부분인 대뇌피질에 미세한 구조적 변화가 생겼는데, 이것이 기분장애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30일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예일대 의대 아동 연구 센터의 마크 포텐자 정신의학 전문의 연구팀은 ‘청소년 뇌 인지 발달’(ABCD)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 자료에는 청소년 5166명(여성 2385명)의 9~10세 이후 ▲뇌 스캔 영상 ▲심리 검사 ▲행동 추적 자료들이 포함돼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9~10살 때 스마트폰, 태블릿, 비디오 게임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은 11~12세가 되면서 우울감, 불안 같은 기분장애 발생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아이들은 2년 사이에 대뇌피질의 영역, 두께, 용적에 미세한 구조적 변화가 발생했다.

연구팀은 뇌의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2~3% 정도에 지나지 않았지만 이는 기분장애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결과는 약물 중독과 온라인 중독 사이에 어떤 공유 요소(shared element)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이 결과에 대해 아동 발달 전문가들은 온라인 중독이 아이들의 뇌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메트로헬스 시스템의 소아 정신과장 셰럴 윌스 박사는 청소년의 온라인 중독과 관련된 뇌 구조 변화가 대단한 정도는 아니더라도 이런 사실이 밝혀진 것은 처음이라고 논평했다.
ABCD 연구는 이 아이들이 나이를 먹으면서 어떻게 되는지를 앞으로도 계속 추적할 것이며 그 결과를 보면 온라인 중독이 발달 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의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더 많은 것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미국 심리 학회의 미치 프린스타인 연구실장은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행동 중독 저널’(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최신호에 발표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