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제금융가에 은행 파산 공포가 가득하다. 167년 전통의 스위스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CS)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독일 최대 은행인 도이체방크도 위기설에 시달린다. 공교롭게도 두 은행은 오래전부터 미국에 미운털이 박힌 곳이다. 러시아와 탈레반을 비롯한 중동 테러범들, 북한의 자금 저수지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은행위기 배후에 미 당국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했다는 설까지 나돈다.

CS는 비밀주의 원조답게 검은돈의 천국이라 할 만하다.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등 많은 독재자가 비자금을 맡겼고 불가리아 마약조직과 일본 야쿠자 등 세계 범죄조직도 돈세탁 등 불법 거래를 했다. CS가 2020년부터 3년간 지급한 합의금과 보상금만 40억달러(약 5조2000억원)에 달한다. 독재자와 전쟁범죄자를 포함해 3만여 범죄자들의 검은돈 약 120조원을 굴리고 있다는 폭로까지 나왔다. 대주주 악연도 빼놓을 수 없다. 작년 11월 사우디아라비아 국립은행(SNB)이 CS 지분 9.9%를 인수했는데 SNB의 최대주주는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이끄는 사우디 국부펀드(PIF)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작년 사우디에 가 석유 증산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한 수모를 겪었다. 이로부터 6개월후 사우디는 CS 몰락으로 수조원의 손실을 봤다.

도이체방크도 온갖 스캔들로 미국으로부터 제재를 받기 일쑤였다. 5년 전에는 미 법무부가 2008년 금융위기를 촉발했던 주택저당증권(MBS) 불완전 판매를 문제 삼아 과징금으로 72억달러(약 8조7000억원)를 요구했다. 비슷한 시기 미국과 영국 정부는 러시아 부호의 자금세탁을 방조한 혐의로 6억3000만달러의 벌금을 물리기도 했다. 그 이후에도 미국의 고강도 규제가 이어졌는데 중국 국영 하이난항공그룹이 2017년 10% 가까이 지분을 인수해 최대 주주로 떠오른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난세에는 음모론이 창궐하는 법인데 은행도 예외가 아닌 모양이다. 음모론은 사실과 허구가 교묘하게 섞여 세인들을 현혹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은행들이 불법 자금거래와 편법경영을 일삼다 화를 자초했다는 비판을 면할 길이 없다.


주춘렬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