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에서 매독에 걸린 채 태어나는 신생아 수가 4년 새 13배 증가했다고 지난 14일(현지시간) CBC 방송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공중보건국은 신생아의 선천성 매독이 지난 2017년 7건에서 2021년 96건으로 127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선천성 매독은 임산부가 보유한 트레포네마 팔리덤균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는 경로로 감염되는데, 캐나다 전체 인구의 매독 감염이 증가함에 따라 선천성 매독도 급증했다고 방송은 설명했다.
보건 당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매독 감염자가 꾸준히 늘어 인구 1천 명당 감염자가 2011년 5.1명에서 2020년 들어 24.7명으로 5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계 전문가는 통상적으로 매독 감염 사례가 남성과 성관계하는 남성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나 최근 들어 이 같은 경향은 감소한 반면 가임 여성들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고 전했다.
의료계는 매독 증가세 원인 중 하나로 낮은 콘돔 사용률을 꼽는다. 2020년 맥마스터 대학의 조사에서 성관계가 활발한 캐나다인 10명 중 7명이 콘돔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매독 검사가 용이해지면서 감염 사례가 그만큼 증가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생아가 매독에 걸린 채 태어난 경우, 생후 3개월간 물집이나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성장 발달 과정에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공중보건국은 매독 검사 지침을 통해 주기적인 검사를 당부하며 특히 임산부의 경우 철저한 진찰과 검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