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단위 예산 투입 시립병원 늘릴 것”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립병원을 몇 곳 더 늘려서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에 대처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자신의 1기 재임 시절이던 2007년 공공 장소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하고, ‘금연도시’를 선언한 일을 스스로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유럽 출장 중인 오 시장은 15일(현지시간) 오전 영국 런던의 한 호텔에서 열린 ‘세계 건강도시 파트너십 시장회의’(PHCS: Partnership for Healthy Cities Summit)에 참석해 이런 내용을 포함한 ‘건강불평등 개선을 위한 서울시 우수정책’을 소개했다. PHCS는 암이나 당뇨, 심혈관계 질환 등 비전염성 질환과 상해 예방을 위해 구축된 세계 70여개 도시의 글로벌 네트워크다. 회의는 올해 처음으로 열렸다.
이날 오 시장은 비공개로 진행된 라운드테이블 토론에서 △코로나19 전후로 시민들의 평소 건강관리를 위한 도심공원·녹지공간 확보와 투자의 필요성 △저소득층을 위한 시립병원 등 공공의료시설 확충 △서울시의 금연정책 성공 사례 등을 공유했다.
오 시장은 “여러 도시가 코로나19 이후 공공공간을 확충해 시민들이 평소에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도심공원·녹지공간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했다”며 “서울시의 경우 급속한 산업화로 녹지공간이나 도심공원 면적을 충분히 확보를 못했었다. 그 점을 해결하기 위한 투자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 시장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시립병원 10곳을 전부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지정했었는데, 그러다 보니 주로 저소득층 시민들이 건강을 관리하고 의료서비스를 받는데 많은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었다”며 “그래서 조 단위의 엄청난 예산을 투입해 시립병원 숫자를 몇 개 더 늘려서 앞으로 코로나 같은 팬데믹이 벌어지더라도 저소득층이 더 이상 피해를 받지 않을 수 있도록 투자를 늘려야겠다고 결심했다. 그 사업이 지금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제가 2007년쯤 도시 전체를 금연도시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조례를 제정했다”며 “그 결과 서울은 공공 공간에서 담배를 못 피는 도시가 됐다”고 역설했다. 그는 “약 1만 9000곳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했고, 그곳에서 담배를 피우다가 적발되면 약 10만원 정도의 벌금을 물게 된다”며 “금연 클리닉에 등록하면 절반 정도의 벌금을 감해준다. 이후 굉장히 드라마틱한 금연율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또, 간접흡연을 피하기 위해 서울시내 곳곳에 흡연부스를 설치했다”며 “저 스스로 평가를 한다면 제가 10년 전 했던 결정 중 제일 잘한 결정이 이 공공 공간에서의 금연정책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자평했다.

이후 오 시장은 블룸버그재단 창시자이자 세계보건기구(WHO)의 글로벌 대사인 마이클 블룸버그와 면담했다. 블룸버그재단은 WHO, 바이탈 재단(글로벌건강단체)과 함께 PHCS 참여 도시들이 지역사회 내 만성질환과 상해 예방을 위한 정책을 실현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는 2018년부터 블룸버그 재단의 지원을 받아 비만과 금연 분야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오 시장은 면담에서 ‘손목닥터 9988’ 등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 정책을 소개했다. 손목닥터 9988은 스마트워치와 모바일 앱을 연동해 시민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높이고자 개발된 서비스다. 걷기 활동량, 식단 관리, 건강정보 확인에 따라 건강 포인트가 지급되고, 누적된 포인트는 약국이나 병원, 편의점 등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다. 두 사람은 시민의 건강 보호를 위한 협력 사업 확대도 논의했다. 블룸버그는 오 시장을 오는 7월 열리는 블룸버그재단-미국 하버드대 공동주최 리더십 행사에 초청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