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불면증, 이 질환 위험 크게 높여…“건강 위해 잘 자야”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3-03-07 09:40:05 수정 : 2023-03-07 09:40:05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집트 연구팀 “불면증, 심근경색 발병 위험 69% 높여”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 함께 있으면 발병 위험 더 높아”
불면증에 시달리는 여성. 게티이미지뱅크

 

잠을 잘 기회가 있음에도 잠에 못 드는 경우를 말하는 ‘불면증’. 대부분의 시간을 각성 상태(뜬눈)로 있거나, 매우 부족하게 잠을 자는 증상을 통칭한다. 

 

그런데 불면증이 심근경색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불면증과 함께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불면증만 있는 사람보다 심근경색 위험이 더 높았으며, 특히 당뇨병과 불면증이 함께 있는 사람은 심근경색 위험이 2배 높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6일 사이언스 데일리의 보도에 따르면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대 의대 연구팀(주저자: 욤마 데안)은 불면증이 심근경색 위험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영국·노르웨이·독일·중국·대만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 9편(연구대상자 총 118만4256명, 여성 43%, 평균연령 52세)의 자료를 종합 분석했다. 

 

118만4256명의 연구 대상자 중 15만3881명이 불면증으로 분류됐다. 불면증 진단은 국제 질병 분류(ICD) 진단 코드에 따랐다. 아니면 ▲잠들기 어려움 ▲수면 지속 안 되고 일찍 잠 깸 ▲중간에 잠이 깬 뒤 다시 잠들기 어려움 등 3가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불면증으로 분류됐다. 

 

수면 중 코를 심하게 골면서 간헐적으로 호흡이 끊기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이 있는 사람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됐다.

 

전체 연구대상자 중 96%는 심근경색 병력이 없었다. 불면증 그룹에서는 2406명, 불면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는 1만2398명이 연구 기간에 심근경색이 발생했다.

 

종합 분석 결과, 불면증 그룹은 불면증이 없는 그룹보다 심근경색 발생률이 6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는 불면증과 심근경색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연령, 성별, 기저질환, 흡연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러한 연관성은 65세 이하와 65세 이상 연령층, 추적 관찰 기간(5년 이상과 미만), 남성과 여성, 기저질환(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당연하지만 불면증과 함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불면증만 있는 사람보다 심근경색 위험이 더 높았다. 특히 당뇨병과 불면증이 함께 있는 사람은 심근경색 위험이 2배 높았다.

 

이밖에 하루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사람은 하루 6시간 자는 사람보다 심근경색 위험이 1.38배, 7~8시간 자는 사람보다 1.5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사람의 심근경색 위험은 하루 9시간 이상인 사람과 차이가 없었다.

 

이는 너무 적게 자는 것과 너무 많이 자는 것 모두가 심장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하루 6시간 자는 사람은 하루 9시간 자는 사람보다 심근경색 위험이 낮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 학회(ACC)와 세계 심장 학회(WCC) 연례 합동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은수 ‘심쿵’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