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에 사활을 건 가운데, 엑스포 개최 이전에 가덕도신공항을 조기 건설하기 위해 제안했던 공법이 전면 변경된다.
부산시는 27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시가 기존 국토부에 제시한 ‘하이브리드 공법(부유식(플로팅)과 매립식 병행)’ 대신, 국토부에서 완전 매립 방식으로 공법을 변경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음 달 중순쯤 국토부에서 가덕도신공항 위치와 공법에 대해 공식 발표가 있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박형준 부산시장이 제안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비롯한 여러 방안을 놓고, 엑스포 개최 이전에 확실하게 가덕도신공항을 개항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 끝에 기존 해상공항 대신 육지(가덕도)에 걸쳐 공항을 건설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전타당성조사 당시 안전문제 등을 이유로 해상에 공항을 건설하기로 했으나, 2035년이 돼야 완공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에 부산시는 엑스포 개최 이전에 가덕신공항 조기 완공을 위해 활주로는 부유식(플로팅)으로, 터미널은 매립식으로 병행 추진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제시했었다.
그러나 부산시에서 제시안 하이브리드 방식은 검증되지 않은 공법인데다, 오히려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국토부 내에서도 갑론을박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엑스포 개최 이전 조기 완공을 최우선으로 정하고, 사실상 매립으로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매립식으로 추진하되 ‘엑스포 개최 이전에 완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이에 공항 위치를 해상이 아니라 최초 부산시에서 제안한 육지에 걸치는 방안으로 방향을 급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항 위치를 해상에서 육지로 옮길 경우 가덕수로와 부등침하 우려 등 기존 제기됐던 안전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가덕수로는 부산항 신항에 입·출항하는 2만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박이 통행하는 해상로인데,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마스트가 높아 항공기가 착륙할 때 장애물제한표면(고도제한)에 저촉될 우려가 커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또 육지에 걸쳐 공항을 건설할 경우 육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상 침하가 심해 육지와 해상의 불규칙적인 부등침하로 항공기 이착륙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다.
부산시는 “가덕수로는 법적으로 해결할 문제이고, 부등침하는 공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며 “엑스포 개최 이전에 신공항을 완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결정해 달라는 입장을 국토부에 전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의 결론은 가덕수로의 경우 부산항 신항을 운항하는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한 달에 2.4회 운행하는데 그쳐 항공기와 충돌할 가능성이 희박하고,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이동식 장애물이어서 고도제한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부등침하 문제도 국내 건설기술로 극복이 가능하고, 육지에 걸쳐 공항을 건설하면 오히려 성토량이 줄어 공기단축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신공항 건설 ‘공법’ 보다 ‘위치’가 더 중요하다”며 “(국토부 결정으로) 비용절감은 물론, 공기단축까지 가능한 1석2조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