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 장지가 생긴다는 데 누가 반기겠습니까?”
경북 성주군청 도로변에 ‘수목장 결사반대’가 적힌 펼침막이 내걸렸다. 계정리 주민 김모씨는 “조용한 시골 마을에 수목장이라니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일이 벌어졌다”며 “장의 차량이 마을을 오가는 걸 어떤 주민이 반기겠냐”고 반문했다.

성주군에 종교단체가 수목장림(자연수목장) 건립을 추진하자 주민 반발이 거세다. 수목장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 단체가 만들어지고, 거리엔 현수막이 붙는 등 반대 움직임은 커지는 모양새다.
22일 성주군 등에 따르면 대구에 주소를 둔 종교단체가 지난해 11월8일 수륜면 계정리 임야에 자연수목장 허가를 요청했다. 주민의 말을 종합하면 수목장 규모는 2만9752㎡ 정도다. 그루당 적정 유골 유치 기수가 3~5기임을 감안할 때 최소 8040기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군은 종교단체로부터 수목장 허가 신청을 받고 자료 보완을 요청한 상태다. 종교단체가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기한은 3월2일까지다. 자료를 내면 군은 2주간의 서류 검토를 마친 뒤 늦어도 3월16일까지 허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최종 결정권은 이병환 성주군수에게 있다.
상황이 이렇자 계정·남은리 주민들은 주민 동의 없는 수목장 허가에 반대한다며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최광수 남은1리 이장은 “주민공청회 한번 없이 수목장이 들어설 수 있냐”며 “수목장 위치와 마을은 불과 1㎞ 정도 떨어진 데다 유골 안치 시 식수에 영향을 미치는 등 생활에 직접적인 피해를 끼칠 수 있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이 수목장은 경북 고령군과도 가깝다. 현재 고령군 주민들도 수목장 반대단체 만들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지하수를 사용하는 주민이 대다수인데 비가 오면 땅에 스며들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에서다.
군은 주민 반대가 거센 만큼 뜻을 참고는 하되 허가 여부가 결정이 나기까지 의견을 밝히기 조심스럽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수목장 사업과 관련해 주민 동의는 지자체의 참고 사항일 뿐 법적 효력은 없다.
군 관계자는 “이번에 허가를 신청한 종교단체가 앞서 두 차례 수목장 허가를 스스로 취하하기도 해 보완서류를 기다리고 있다”면서 “(군은) 행정기관으로 서류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현재로선 이렇다 할 입장을 표명하긴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