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현직·예비 교원 등 10명 중 8명 교육전문대학원 반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2-14 11:05:37 수정 : 2023-02-14 11:05:3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정부가 올해 교육전문대학원(교전원)을 시범 도입한다고 밝힌 가운데, 현직·예비 교원 10명 중 8명은 교전원에 반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는 현직·예비 교원과 학부모, 대학생, 교수 등 교육주체 3만1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81.5%가 교전원 도입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고 14일 밝혔다. 조사는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9일까지 진행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교전원 도입에 동의하지 않는 이유로는 ‘교전원 도입이 교원의 전문성이나 역량 확보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보기 때문’(40.1%)이 꼽혔다. 강 의원은 “교육부는 교전원 도입을 추진하며 ‘교원의 전문성과 역량 확보’를 내세웠으나 이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과”라고 밝혔다.

 

또 교전원 졸업자들에게 임용시험을 면제해주는 방안에 대해 응답자의 82.6%(2만6369명)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교전원 졸업자에게 1급 정교사 자격증을 발급해 주는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79%) 의견이 많았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교전원 졸업 후 수습교사 형태로 일하고, 2년 후 평가를 통해 정교사가 되는 방안을 언급했으나 이에 대해서도 73%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강 의원은 “설문 분석 결과 교육주체 대부분은 교전원 도입을 반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교육정책은 목표가 무엇인지 분명할 때 국민을 설득할 수 있고 정책 집행 방법과 수단도 명확해질 수 있다”며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려는 교전원 도입은 그 목적이 무엇인지부터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분한 숙의와 사회적 합의 과정 없이 일단 던지고 보는 식의 낚시성 정책은 결국 예비 교원인 청년 세대와 우리 학생들에게 혼란과 상처만 가져다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교원 양성과 임용 제도는 매우 민감한 정책이기 때문에 공정성과 형평성을 기반으로 사회적 합의를 거친 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깜찍한 브이'
  • 나연 '깜찍한 브이'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
  • 솔지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