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화제를 모으고 있는 챗GPT에 한국 수학능력시험(수능)을 풀게 했더니 영어에서 2등급에 해당하는 좋은 성적이 나왔다. 반면 수학영역 점수는 좋지 않았다.
SW(소프트웨어) 전문 시험평가·기술검증 스타트업 ‘애나’와 김시호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 연구진은 챗GPT에 2023학년도 수능 문제를 입력한 결과를 6일 공개했다. 그림이 포함되어 문항의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문제 전체를 입력하고 답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영어영역에서는 듣기평가의 경우 16문제 중 14문제, 독해 평가는 17문제 중 13문제 정답을 맞혔다. 합산점수는 82점으로, 수능 2등급 수준의 능력이다.
영어 홀수형 기준으로 29번 문제, 문단 중 어법상 틀린 단어를 고르는 문제에서 챗GPT는 1번을 골랐으나, 정답은 2번이다.
애나 측은 “문단에 함축된 의미 추론, 요지 파악, 글의 목적과 주제 파악 등 어려운 문제 모두 정답을 맞혔다”고 설명했다.
반면 수학은 영어와 달랐다. 공통 과목 분야에서는 20문제 중 6문제만 정답이었다. 확률과 통계, 미적분학, 기하 문제는 모두 틀려 챗GPT의 수학 능력은 아직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학습 방법으로 수학을 배우는 챗GPT의 연산 능력은 한 자리 숫자의 곱셈 정도는 풀지만 두 자리 숫자의 곱셈에서 오답을 낼 정도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애나의 이상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챗GPT는 문장 요약과 추론 등에 매우 뛰어난 능력을 보이며, 이 기능을 활용해 응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궁무진할 것으로 보인다”며 “산업계에서는 이에 맞추어 인재 채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머지않아 바뀌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세대 공학교육혁신센터 한경희 교수는 “머지않은 미래에 인공지능의 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 능력 수준을 넘어서게 될 것”이라며 “인공지능과 동행하게 될 앞으로의 교육에서 새로운 교육 목적과 방법을 고민하지 않는다면, 미래사회에서 대학 교육은 존립의 근거를 잃게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