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8시까지 돌봄’ 단계 확대 구상
2023년 600억 지원… 2025년 전국 확대
전교조 등 “업무부담 과중” 반발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과 돌봄시간을 확충한 교육부의 ‘늘봄학교’ 시범지역에 경기와 대전 등 5개 지역이 선정됐다.
25일 교육부는 늘봄학교 시범교육청으로 △경기 △인천 △대전 △전남 △경북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11∼18일 시범사업 신청을 받은 뒤 5곳을 선정했다.

늘봄학교는 돌봄시간을 오후 8시까지로 늘리는 등 정규수업 전후 돌봄을 강화하고, 방과 후 수업 프로그램도 다양화한 초등학교 교육·돌봄 정책이다. 교육부는 올해 특별교부금 600억원을 지원, 약 200개 학교에서 시범사업을 벌인 뒤 2025년 전국에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시범학교는 경기 80개교, 전남·경북 각 40개교, 대전·인천 각 20개교다.
우선 시범학교들은 올해 입학하는 초등학생들이 정규수업 후 교실에서 놀이·체험활동을 하며 학교에 적응할 수 있는 ‘에듀케어’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단계적으로 저녁 돌봄을 확대한다. 경기·인천·대전·경북은 정규수업 전 ‘아침돌봄’을, 경기·대전·경북·전남에서는 필요한 날 신청해 이용 가능한 ‘일시돌봄’을 운영한다. 또 경기·경북에서는 토요 방과 후 수업을, 전남에서는 농어촌 특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지역별 맞춤 돌봄·교육 정책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시범교육청이 아닌 지역에도 늘봄학교 확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100억원을 투입, 방과 후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저녁돌봄 석·간식비를 지원한다.

다만 각 지역 교원단체들은 늘봄학교 사업으로 돌봄 시간이 늘면 교원의 업무 부담도 늘어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어 향후 학교 현장 여론 수습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전과 경북지부 등은 각 지역 교육청이 늘봄학교 시범사업에 응모하겠다고 하자 “준비 없는 늘봄학교 추진은 교원의 돌봄 행정업무만 늘릴 것”이라며 반대 성명을 낸 바 있다. 교육부는 이날 ”전국 모든 교육청에 지방공무원 120명을 배치해 학교의 돌봄 관련 업무가 경감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에 시범교육청으로 선정된 지역이 향후 늘봄학교의 전국 확산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며 “시범운영을 통해 지역별 특색에 맞는 성공 모델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