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작년 소비자물가 5.1% 올랐는데 식품은 6.9% 치솟아

입력 : 2023-01-22 06:00:00 수정 : 2023-01-24 23:04:0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설 대목에 당국 긴장

뉴스1

 

지난해 한때 6%대(7월 6.3%) 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근 한풀 꺾였지만 당분간은 5%대의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전망이다. 특히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이보다도 훨씬 높은데, 설 성수품을 중심으로 또 다시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정부는 설을 앞두고 성수품 물량을 공급하고 가격 조사에 나서는 등 '설 물가잡기' 총력전에 나선 모습이다.

 

21일 뉴스1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였다.

 

하지만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쌀, 달걀, 배추, 소금 등 국민이 체감하기 쉬운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6.0% 가파르게 치솟았다. 식품만 따로 떼어 놓고 보면 물가는 작년보다 무려 6.9% 올랐는데, 이는 지난 2005년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최고 상승률이었다.

 

정부는 적어도 올해 상반기까지는 5%대의 고물가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고유가 속에서도 미뤘던 전기·가스요금, 교통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설 명절 역시 정부가 주목하는 상반기 주요 물가 상승 요인 중 하나다. 차례 음식 등 성수품목 수요가 오르면 가뜩이나 높은 장바구니 물가가 또 다시 요동치고 민생경제 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정부는 지난 4일 설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하고 설 전 3주간 16대 성수품 평균 가격이 전년보다 낮은 수준이 되도록 역대 최대규모인 20만8000톤의 물량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평시대비 1.4배 늘린 규모다. 16대 성수품은 배추·무·사과·배·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계란·밤·대추·명태·오징어·갈치·참조기·고등어·마른멸치다.

 

또 농축수산물에 역대 최대규모인 300억원을 투입, 설 전 3주간과 연휴기간에 최대 60%까지 할인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통계청은 지난 9일 설을 앞두고 성수품 수급관리 상황 파악을 위해 쌀, 소고기, 밀가루 등 33개 품목에 대해 20일까지 일일 물가조사를 한다고 밝혔다. 해당 결과는 정부가 추진하는 설 민생안정대책의 기초자료로 쓰이게 된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12일 "16대 성수품 평균 가격이 지난해 설 대비 2.5% 낮은 수준이지만 설 명절기간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이같은 노력은 일정부분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설 연휴를 나흘 앞둔 지난 17일 기준으로 16대 성수품 가격이 전년 대비 4.4%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물량공급 대상이 아닌 성수품까지 포함한 28개 항목을 기준으로 전국 17개 전통시장과 27개 대형유통업체를 조사한 결과 평균 30만6498원의 상차림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됐다. 전통시장은 27만3991원으로 전년보다 2.6% 상승한 반면, 대형유통업체는 33만9005원으로 4.9% 하락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20일까지 성수품 계획 공급 물량을 100% 완료했다"며 "역대 최대 규모의 공급으로 주요 성수품 가격이 전년보다 하락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설 1주 전인 지난 16~17일 서울 25개구의 90개 시장과 유통업체(대형마트·백화점·슈퍼마켓 등)에서 25개 품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올해 제수용품 구입 비용은 전년보다 3.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시기인 점을 고려하면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설 물가가 유지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협의회는 "소고기는 제수용품 중 소비자 부담이 큰 제품으로 양지의 경우 전년 대비 4.0% 상승했다"며 "최근에 소고기 도매가가 역대급으로 하락했다고 하지만 소매 단계에선 아직까지 반영이 안 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수줍은 미소
  • 아이유, 수줍은 미소
  • 빌리 츠키 '너무 사랑스러워'
  • 빌리 하루나 '성숙한 막내'
  • 차주영 '매력적인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