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지하철 탑승 시위를 16일 만에 재개했다. 이로 인해 열차 운행이 최장 30여분 중단됐다.
전장연 활동가 300여명은 20일 오후 2시부터 지하철 4호선 삼각지역 상행선 승강장에서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 참사 22주기 맞이 집중결의대회’를 열었다.
오이도역 참사는 2001년 1월22일 장애인 노부부가 오이도역에서 리프트를 이용하다가 추락한 사고다. 이를 계기로 장애인 단체들은 지하철 역사 엘리베이터 설치,저상버스 도입 등을 요구해왔다.
활동가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오후 3시 15분쯤부터 지하철 탑승을 시도했다. 서울교통공사와 경찰은 삼각지역 상행선 방향 1-1부터 4-4 승강장까지 일렬로 저지선을 만들어 이들의 탑승을 막았다.
그러자 박경석 전장연 대표는 역에 도착한 열차의 출입문이 열리자마자 휠체어에서 내린 뒤 엎드려 버티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상행선 열차 운행이 오후 3시 54분쯤부터 약 30분간 멈췄다.
공사와 경찰 측은 박 대표를 휠체어에 다시 태워 끌어내고 오후 4시 21분쯤 운행을 재개했다. 이 여파로 오후 4시 23분∼5시 8분 35분간 4호선 상행선 열차 11대가 삼각지역을 무정차 통과했다.
공사는 신용산역 2번 출구, 삼각지역 1번 출구, 숙대입구역 5번 출구에 대체 버스를 마련해 승객을 안내했다.
앞서 전장연은 이날 오전 8시와 9시에도 각각 4호선 오이도역과 서울역 승강장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를 벌였다. 서울역에서 활동가 30여명이 오전 10시20분쯤 숙대입구역 방향 4-4 승강장에서 16차례 지하철을 타려 했으나 공사 관계자들에게 저지당했다.
박 대표는 오전 10시40분 용산역에서 귀성객에게 명절 인사를 하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면담을 요청하기도 했으나 불발됐다.
전장연은 오후 6시 30분쯤 지하철 탑승 시위를 끝내고, 오 시장과의 면담을 재차 요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