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SK온, 美 우르빅스와 배터리 음극재 공동개발

입력 : 2023-01-20 01:00:00 수정 : 2023-01-19 19:47:35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인플레 감축법’ 적극 대응 전략

친환경 천연 흑연 가공기술 보유
최근 JDA 체결… 협업기간은 2년
2025년 年 2만8500t 생산 계획

SK온이 미국 소재 업체와 손잡고 중국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음극재 개발에 나선다. 북미 현지 공급망 강화를 통해 전기차법(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SK온은 우르빅스와 배터리 음극재 공동개발협약(JDA)을 최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양사는 SK온 배터리에 특화된 친환경 고성능 음극재를 연구개발(R&D) 할 예정이다. 우르빅스가 정제한 흑연을 바탕으로 한 음극재를 SK온이 개발 중인 배터리에 적용한 뒤 그 성능을 함께 연구하고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협업 기간은 2년으로 양사 합의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개발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SK온은 우르빅스로부터 음극재를 공급받아 미국 내 SK온 배터리 공장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2014년에 설립된 우르빅스는 배터리용 친환경 천연흑연 가공기술을 보유한 미국 기업이다. 애리조나주에 연산 약 1000t 규모의 음극재 생산라인을 구축 중이며 생산 규모를 2025년까지 연산 2만8500t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SK온은 글로벌 생산 확대를 뒷받침하고 안정적인 원소재 수급을 위해 호주, 칠레 업체 등과 수급 계약을 맺으며 공급망 다변화를 꾸준히 추진해왔다.

음극재는 양극재, 분리막, 전해질과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요소 중 하나로, 주로 흑연이 쓰이고 있다. 특히 음극재는 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은 소재로 꼽힌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작년 하반기에 발간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음극재 생산의 85%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선희영 SK온 선행연구담당은 “SK온은 원소재 확보를 위해 이번 협약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공급망 다각화를 통해 IRA를 오히려 기회 요인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니코 쿠에바스 우르빅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협약은 한국, 미국 양 국가의 배터리 핵심 광물 공급망 구축 노력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