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9~10세 때 온라인 비디오·게임에 과도하게 몰입하면 이것 위험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12-27 09:53:55 수정 : 2022-12-27 17:14: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연구팀 “‘강박장애’에 걸릴 위험 높아질 수 있어”
“지나치게 빠져 있다면 강박장애 검사 꼭 받아봐야”
유튜브를 시청하는 어린이. 게티이미지뱅크

 

9~10세 때 유튜브 등 온라인 비디오 시청이나 비디오게임을 지나치게 즐기면 강박장애(OCD)에 걸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아이들이 온라인 비디오 시청이나 비디오게임에 지나치게 빠져 있다면 강박장애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는 신호라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24일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의대 소아과 전문의 제이슨 나가타 박사 연구팀은 정부의 지원 아래 진행 중인 건강과 뇌 발달에 관한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강박장애는 병균이 묻었을까 봐 지나치게 자주 손을 씻거나 문을 잘 잠갔는지, 가전제품 스위치를 제대로 껐는지를 거듭 확인하거나 어떤 물건을 특정 순서대로 가지런히 정리해야만 안심이 되는 등의 행동을 반복하는 심리 장애를 말한다.

 

연구팀은 전체적인 연구 자료 가운데 강박장애가 나타나기 쉬운 연령대인 9~10세 때 연구 대상으로 편입된 아이들 9200여명의 자료를 집중 분석했다.

 

이 아이들은 온라인 스크린 타임이 하루 평균 4시간이었다. 그로부터 2년 사이에 이 중 4.4%에게서 강박장애가 발견됐다.

 

연구 결과, 스크린 타임이 1시간 늘어날 때마다 비디오 게임을 하는 아이들은 강박장애 발생률이 15%, 유튜브 같은 온라인 비디오를 시청하는 아이들은 11% 높아졌다.

 

강박장애는 아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자료를 근거로 진단됐다. 

 

그러나 TV 시청, 휴대폰 문자 교환, 소셜미디어(SNS)는 강박장애 위험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아이들은 온라인 비디오 시청을 시작하기 전에 건강 상태가 완벽했다고는 할 수 없다. 강박장애 소지가 있는 아이들이 온라인 비디오나 비디오 게임에 끌려 들어가 ‘중독’됐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처럼 무엇이 원인인지 정확히 가리기 어렵지만, ‘양방향 관계’(bi-directional relationship) 일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즉, 어떤 일에 몰두하는 성격의 아이들이 어쩌다 비디오 게임에 빠져들다 보니 강박 심리가 악화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뉴욕 몬트피오르 메디컬센터 자폐·강박장애 스펙트럼 프로그램 실장 에릭 홀랜더 박사는 온라인 비디오 시청·비디오 게임과 강박장애 사이의 연관성은 쌍방향(two-way) 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참지 못하는 성격을 지닌 사람들은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높지만 잘못된 인터넷 사용이 못 참는 성격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특히 아이들은 다양한 활동을 바꿔 가며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한 가지 일을 반복하는 것은 좋지 않다”라고 그는 강조했다. 

 

따라서 아이들이 온라인 비디오 시청이나 비디오 게임이 지나치면 강박장애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는 신호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청소년 건강·의학 협회(Society for Adolescent Health and Medicine) 학술지 ‘청소년 건강 저널’(Journal of Adolescent Health) 최신호에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린 '상큼 발랄'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