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책임에 대한 유감 표명”

‘비명계’(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이재명 당 대표가 최측근 구속을 두고 유감을 표명해야 한다는 본인의 주장과 관련 “(검찰) 수사의 정당성을 인정하라는 것이 아니다”라며 입장 표명을 재차 촉구했다.
조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대표직 사퇴까지를 전제로 한 요구가 아니다. 노무현·이명박·김영삼 전 대통령과 이해찬 전 총재도 유감 표명을 다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02년 대선자금 사건 때, 노무현 대통령은 안희정 전 지사가 구속되니까 아주 절절히 유감 표명을 하셨다. 이해찬 전 총재 역시 모든 게 내 탓이라고 유감표명을 했다”며 “이상득 의원이 구속되니까 이명박 전 대통령이 유감을 표명했고, 김영삼 대통령 역시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무슨 법적 책임을 지겠다는 유감 표명이 아니고, 정치적 책임에 대한 유감 표명”이라며 “지도자급 정치 지도자는 최측근, 가족의 구속이나 스캔들에 대해 유감 표명을 통해서 책임을 밝힌 전례가 여태까지 계속 있어 왔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의 유감 표명이 정진상 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구속 결과를 인정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그전에 유감 표명했던 분들은 뭔가”라며 “정치 지도자로서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리고, 민생에 전력해야 할 정치적 책무를 제대로 하지 못한 점에 유감을 표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유감 표명으로) 일 보 후퇴하면서, 민생에 전력하는 이 보 전진을 하는 계기로 만들자는 얘기”라며 “(검찰 수사의) 사실관계에 대해 당이 직접 나서서 대응하는 것은 굉장히 불편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공정한 수사가 아니라고 하는 점은 목소리를 높이고 일치단결해서 대응해야 한다”면서도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당이 (모르기 때문에) 전면에 나서서 대응하는 것이 굉장히 위험하다. 당 지도부가 이렇게 사실관계 자체에 대해서 직접 대응을 한 적은 없었다”고 비판했다.
앞서 조 의원이 지난 21일 “이재명 대표가 (대장동 의혹과) 무관한지 솔직히 잘 알 도리가 없다. 무관하다고 믿고 싶은 것”이라며 “최측근 2명이 연이어 구속된 데 대해 최소한의 유감 표시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 최근 이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구속된 것을 두고 “법관이 구속영장을 발부한 건 어느 정도 (범죄 혐의가) 소명됐다는 얘기”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구속영장 발부의 전제조건은 피의자가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다는 것이고, 그 이후에 증거인멸 같은 게 따라간다”며 “(구속영장 발부는) 어느 정도 (범죄가) 소명됐다고 전제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3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에 대한 검찰의 수사를 놓고 “개인적인 행위들에 대해 이재명 대표가 구체적인 해명을 한다는 게 더 이상한 모습이 될 수 있다”며 유감 표명 필요성에 선을 그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대선자금 수사라고 민주당이 조직적인 범죄행위를 저질렀든가 경선캠프가 동원돼 자금을 모아 썼다든가 이런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 대표가 최측근 구속을 두고 최소한의 유감을 표명해야 한다는 일부 의원들의 주장을 두고 “저희가 보기에 이 사건은 대선 경쟁자에 대한 정치 보복·탄압 수사이고, 본인들이 무죄를 주장하고 있는데 달리 뭐라고 더 해명하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이미 (이 대표가) 일정한 정도의 유감스럽다는 말은 몇 번 했던 걸로 알고 있다”며 “사건 자체에서 다투고 하기 때문에 더 구체적으로 해명을 한다는 것 자체도 이상하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