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출신인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23일 “‘MBC (대통령 전용기 배제) 사태’는 대통령 홍보수석실이 접근을 대단히 잘못한 것”이라며 “절차를 생략해 모든 부담이 대통령 본인에게 모두 옮겨가게 했다”고 참모진을 비판했다.
조 의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최근 벌어진 MBC 기자 전용기 탑승 배제 논란과 윤석열 대통령 도어스테핑 중단 사태와 관련해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그는 “(앞서) MBC는 (‘PD수첩’ 방송에서 재연배우를) 김건희 여사의 대역임을 고지하지 않고 어떻게 보면 왜곡으로 몰아갈 수 있는, 방송으로서의 본연의 자세를 갖추지 못했다”면서 “기자가 그런 식으로 접근한다면 계속 도어스테핑을 할 수는 없는 것”라고 언론으로서 MBC의 문제를 지적했다.
다만 그는 “‘(MBC가) 재발 방지(를 약속하지 않는다)라든지 명확하게 잘못된 부분을 사과하지 않는다면 우리(홍보수석실)는 이렇게 할 수밖에 없다’는 명분이 있었어야 한다”고 했다.
조 의원은 “(기자들을) 대통령 전용기에 꼭 태워야 한다는 의무조항은 없다”면서도 “전용기에 어느 기자가 타고 안 타고를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시겠는가. 아니다. 모든 게 다 실무선에서 결정된다”고 했다.

이어 “(홍보수석실은) ▲강력한 항의 ▲재발방지 약속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하고 ‘이것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다른 대응 방안을 강구하겠다’라고 두세 번 정도 명분을 축적했어야 한다. 그런데 그런 절차가 빠졌지 않은가”고 대통령실의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니까 항상 대통령에게 그 부담이 직접적으로, 고스란히, 잘못 가는 것”이라며 “참모들이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때부터 어떻게 했는지를 복기부터 했으면 좋겠다"고 촉구했다.
그는 뭣보다 “홍보수석실 관계자들은 절반은 기자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홍보수석은) 기자가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꿰뚫고 있어야 한다. 대통령이 질문을 받기 전에 이슈를 함께 정리해보고 이런 걸 물어본다면 어떨까 하는 사전 조율과정도 조금 필요하다”면서 “그렇다면 좀 더 세련되게 대통령의 정국 구상을 알 수 있는데, 그런 면에서도 부족했다”고 일갈했다.
그는 “제가 수석 최고위원일 때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오찬하면서 ‘도어스테핑 방식이라든지 질문과 답변에 대한 내용을 다듬어가는 게 굉장히 중요할 것 같다’는 말씀을 드렸다. 그 생각에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면서 “이번에 문제가 됐던 것이 잘 마무리되고 나서 방식 등을 좀 더 세련되게 바꿔서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도어스테핑이 재개됐으면 좋겠단 바람도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