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태원 참사’ 故 이지한 모친 “尹, 진심 어린 사과·제대로 진상규명해야”

입력 : 2022-11-23 10:59:00 수정 : 2022-11-23 11:33:31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배우 이지한씨 모친 “영정도 위패도 없는 데다 애도하는 건 말이 되지 않아”
정부의 지원 정책에는 “생각해본 적도 없고, 10조를 받아도 국가배상에 합당한 금액인가 생각할 정도”
일부 유족,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진정한 사과’와 ‘엄격하고 철저한 책임규명’ 등 촉구
윤복남 변호사 “10·29 참사, 국가의 위기관리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벌어진 일”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지난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고(故) 배우 이지한씨의 어머니가 현재 유족에게 필요한 것은 윤석열 대통령의 진심 어린 사과라고 강조했다.

 

고인의 모친인 조미은씨는 지난 22일 KBS 뉴스에 출연해 “지금이라도 우리들을 모아놓고 (대통령이 하는) 진심어린 사과 한 마디, (가장 필요한 것은) 그거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 다음에 공간을 만들어서 서로 위로하고 충분히 울 수 있는 시간을 달라”며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을 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위패와 영정이 없는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대한 의견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이를 강조하듯 “영정 사진도 위패도 없는 곳에다 국화꽃을 헌화하며 애도한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며 “사과하시고 공간을 마련해달라, 제대로 된 진상규명을 해 달라”고 거듭 촉구했다.

 

조씨는 자신이 언론 앞에 나서게 된 이유를 묻는 앵커에게 “다른 분들 슬픔이 제 슬픔보다 훨씬 더 깊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분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 고민하다가, 그래도 지한이는 이름이라도 좀 알고 있으니까 국민들이, 나라도 나서서 그분들의 지팡이가 되어서 참사를 알려야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할 수 있는 데까지는 유족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는 심정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이달 초 백석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열린 ‘위로예배’와 서울 종로구 조계사 ‘추모 위령법회’ 등에서 잇따라 사과의 메시지를 내는 등 정부의 사과를 유족이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질문에는 “우리 유가족들이 사과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나”라며 “아무리 더듬어 생각해봐도 사과를 받은 적은 없는 것 같다”고 답했다. 사실상 방송용 사과로 볼 수밖에 없고 유족에게 진심으로 윤 대통령의 사과가 와 닿지 않았다는 의미다.

 

특히 누리꾼들의 악성 댓글은 유족에게 날아든 비수였다고 조씨는 언급했다. 그는 “그런 사람들이 나중에 이런 일을 당하면 과연 그런 말을 할 수 있을까”라며 “뒤를 생각하고 말을 하셔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 인근에서 열린 참여연대 주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 추모 촛불 :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에 참여한 시민 앞에 촛불 등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사망자와 부상자 지원 정책 등에 대해서는 “이거 줄 테니까 위안 삼아 그만 진상규명 외치고 가만히 있으라는 뇌물인가”라며 “생각해본 적도 없고, 10조를 받아도 그것이 국가배상에 합당한 금액인가 생각할 정도”라고 조씨는 분통을 터뜨렸다. 그리고는 “그렇게 하고 입을 다물고 가만히 있을까”라고 거듭 목소리를 높였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족 중 일부는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대회의실에서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 자리에 조씨도 참석했다. 유가족들은 ▲진정한 사과 ▲엄격하고 철저한 책임규명 ▲피해자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진상 및 책임규명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추모시설 마련 ▲2차 가해 방지를 위한 입장 표명과 구체적 대책 마련 등 정부에 대한 6가지 요구사항을 전했다.

 

민변의 ‘10·29 참사’ 대응 태스크포스(TF) 팀장인 윤복남 변호사는 23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10·29 참사는 국가의 위기관리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라며 “유가족들은 언론과 카메라 앞에 서는 게 정말 쉬운 일이 아니었는데 참사 발생 후 24일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사과나 참사의 원인 규명, 어떤 재발방지책 의논도 없이 유가족은 소외됐다”고 주장했다. ‘정치적 발언’이 난무하는 상황이 이어지다가는 희생이 헛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며, ‘진정한 사과’의 의미를 두고는 “잘못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한 상태에서 책임을 함께 지겠다는 태도가 진정한 사과라고 생각한다”고 윤 변호사는 밝혔다.

 

계속해서 정부의 지원 정책 등에 관해서도 “금전 배상에 앞서 참사의 원인과 진상규명이 더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본다”며, 자신이 만나는 유족들도 진상규명을 최우선으로 말한다고 윤 변호사는 전했다.

 

윤 변호사는 참사 후 처음 열린 전날의 기자회견은 유족들의 의사에 따른 것이며, 일부 유족이 영정사진을 들고나온 데 대해서는 “각자 자신의 결정에 따라 영정사진을 들고 오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세계일보는 이번 참사로 안타깝게 숨진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의 슬픔에 깊은 위로를 드립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