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방한했던 사우디아라비아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자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아르헨티나를 꺾는 이변을 일으킨 것에 대해 함박웃음을 지었다.
23일(현지시각) 아랍뉴스 등 중동 매체들은 빈 살만 왕세자가 다른 가족들과 자국의 경기를 보면서 동생을 끌어안는 등 리액션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에너지부 장관을 맡고 있는 형 압둘아지즈 왕자도 함께 관람했는데, 이들은 경기 중 기도하는 모습도 보였고 종료 후에는 얼싸안고 기뻐했다.
아르헨티나는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3위로 이번 월드컵의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는데, 랭킹 51위 사우디아라비아가 이긴 것이니 그 기쁨은 더욱 컸다.
특히 리오넬 메시(35·파리 생제르맹)의 마지막 월드컵으로 예상됐기에 더욱이 아르헨티나의 신승이 점쳐졌었다.
경기 내용을 살펴보면 전반 10분 아르헨티나 메시가 페널티킥 선제골을 넣으며 사우디아라비아는 0대 1로 끌려갔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후반 3분과 8분 각각 살레 알셰흐리와 살렘 알도사리에의 연속골을 넣었고 이후 아르헨티나는 골대를 두드렸지만 그야말로 빗장수비는 틈을 허용하지 않았다.
특히 메시가 전반 10분 만에 골을 뽑아낸 뒤 아르헨티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오프사이드를 유도하는 전략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
아르헨티나는 전반에만 무려 7번의 오프사이드를 범했고, 여기서 벗어났다면 최소 2골 이상 뽑아냈을 것이다.
아르헨티나는 전반 10분 이후 2골이 사우디아라비아 골망을 갈랐지만 이후 오프사이드 판정을 받으며 무효로 처리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아르헨티나전 승리를 자축하고자 경기 다음날을 공휴일로 제정했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는 빈 살만 왕세자 주도 하에 오는 2030년 월드컵 유치에 힘쓰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