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로 소비 제약
반도체 경기하강 수출 둔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이 1%대 후반에 그칠 것이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이 나왔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22일(현지시간)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OECD가 지난 9월 제시했던 전망치(2.2%)보다 0.4%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2024년 성장률 전망치도 1.9%로 2% 선을 하회했다.
OECD는 한국의 민간소비가 그동안 견조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가처분소득 증가세 둔화 등이 향후 민간소비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단기적으로 반도체 경기 하강 및 글로벌 수요 위축 등에 따른 수출 둔화 부담도 전망치 하향에 영향을 미쳤다. OECD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7%로 기존 전망치(2.8%)보다 0.1%포인트 낮췄다.
OECD는 가계·기업의 부채 상환 부담 가중에 따른 주택가격 조정 및 기업부실 위험 등은 한국의 소비·투자 하방 요인으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및 대면서비스 분야 조기 회복 등은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또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과 고물가 압력 완화 및 급격한 고령화 대비를 위해 국회가 재정준칙을 채택할 것을 권고했다.
OECD는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의 경우 서비스·공공 요금을 중심으로 당분간 높은 수준을 보이다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각각 5.2%, 3.9%로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