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전 재점화 우려…비명계서 "대표직 내려놔야" 목소리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최측근 인사들의 줄구속에 따른 이른바 '이재명 사법 리스크' 파장이 당내 확산하고 있다.
검찰발 악재를 둘러싸고 비이재명계의 불만이 공개적으로 분출되면서 묵은 계파 갈등이 재점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 대표는 재차 민생 행보에 나서면서 '사법 리스크' 논란과 거리를 두고 있지만, 리더십에 적잖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이 대표는 22일 오전 당 대표 회의실에서 '공공임대주택 예산 삭감 저지를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제1야당 대표로서 '민생예산 수호' 메시지를 던지며, 막바지 예산 정국에서 협상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됐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표로선 진실은 재판을 통해서 가리면 될 일이고,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생각"이라며 "첫째도 둘째도 민생법안과 예산이라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지도부와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은 연일 이 대표 엄호에 나서는 한편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한 당내 반발 확산 차단에도 열을 올렸다.

친명계 좌장 격인 정성호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언론에서는 비명계 의원들이 이러저러한 (집단적 반발의) 움직임들이 있다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면서 "대부분의 의원은 단일대오를 유지해야 한다는 데 공감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구속기소 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관련해선 "지도부에서 판단해야 할 문제겠지만 본인이 자진사퇴하는 게 낫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한다"라고도 했다.
검찰 기소까지 이뤄진 만큼 이 대표와 당에 부담을 주지 않고 김 부원장이 스스로 거취를 정리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는 당헌 80조에 따라 김 부원장의 당직을 정지해야 한다는 비이재명계 요구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도 읽혔다.
다만 당 고위 관계자는 "당헌 80조에 3항에 정치탄압의 경우 당직 정지를 유예한다는 규정이 있으니 종합적으로 살펴보겠다"며 말을 아꼈다.

비명계는 더 날을 세웠다. 일각에선 이 대표가 스스로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수도권 한 재선의원은 통화에서 "이 대표가 직을 내려놓고 현재 본인의 결백을 증명하고 다시 당에 들어와야 한다. 그게 이 대표도, 당도 살길"이라며 "이런 식으로 불똥이 튀는 데도 당이 보호막을 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해영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지금 민주당은 손실을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때"라며 "솥(鼎)이 뒤집어졌으면 솥 안의 막힌 것들을 비워내고 새롭게 채워야 한다"고 적기도 했다.
지난달 이 대표를 향해 "이제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 주십시오"라고 발언한 데 이어 또 한번 이 대표의 거취 문제를 정면으로 들고 나온 것이다.
다만 전운이 감돌았던 이날 의원총회에서 친명계와 비명계가 정면 충돌하는 모습은 연출되지 않았다.
한 재선 의원은 "의총장에서 공개적으로 불협화음이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다수 생각"이라며 "검찰이 이 대표 측근들에만 고강도 수사를 벌이는 데에는 야당 분열 계략이 숨은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많다"고 말했다.
의총에선 친명계로 분류되는 안민석 의원 혼자 자유발언에 나섰으며, 뇌물수수 혐의를 받고 있는 노웅래 의원의 '결백 주장'을 두둔하는 데 집중했다고 한다.
노 의원은 의총에서 억울한 심정을 토로하며 "나를 믿어달라, 내게 (무죄 소명을) 맡겨 달라"고 역설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