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21일 윤석열 정부의 비핵화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과 관련, “북한과의 대화 성사 자체가 성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절대 없다”면서도 북한과의 ‘대화(Dialogue)’가 성사될 때까지 ‘억제(Deterrence)’와 ‘단념(Dissuasion)'을 계속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1차장은 이날 통일부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주최한 ‘담대한 구상’ 이행을 위한 공개 세미나 기조발제를 통해 담대한 구상에는 북한을 대화로 이끌어낼 방법으로 3D 정책, 즉 억제, 단념, 대화가 행동원칙으로 담겨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3가지(3D)가 처음부터 같이 가면 좋지만, 잘 안된다면 마지막의 대화가 성사될 때까지 억지와 단념을 계속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핵 개발을 해도 성과가 없고 소용이 없겠구나 하는 판단이 나올 수 있도록 국제공조와 대북 압박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며 “핵이 있어도 쓰지 못하도록 만드는 억지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9월 북한의 핵무력 법제화에 대해서는 “북한 핵이 미국, 일본뿐 아니라 대한민국과 우리 국민을 겨냥하고 있다는 것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며 이에 대한 억지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 스스로 추진하고 있는 3축 체제의 구축을 가속함으로써 “핵·미사일 징후시 사전조치 태세를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사일이 발사된다면 탐지하고 요격할 수 있는 킬체인을 강화해야 한다”며 “핵 도발을 불사할 경우 대량보복을 통해 핵 공격이 북한 정권의 종말로 이어진다는 한·미간의 합의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정부가 발표한 ‘담대한 구상’과 관련, “북한이 순순히 오늘부터 핵을 폐기하기로 마음먹었으니 비핵화 대화를 시작해보자고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북한은 핵 보유를 기정사실로 하면서 북·미대화를 요구하거나 포괄적인 비핵화가 아닌 핵프로그램 일부만을 상정하면서 남북경제협력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지만, 이를 알면서도 초기 대화를 통해 비핵화에 착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1차장은 북한의 핵 개발 이유로는 정권을 지키기 위한 측면도 있지만 핵 사용 위협을 통해 우리 국론 분열을 시도하는 목적도 있다며 대북정책과 통일비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