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의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이 21일부로 중단돼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행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대통령실 비서실 관계자와 공개적으로 언쟁을 벌인 MBC 기자에 관해 “상상도 못할 일”이라고 비판했다.
중앙일보 전문기자 출신인 김 위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청와대 출입기자는 그 언론사의 1호 기자로, 가장 실력 있고 예의범절을 갖춘 기자가 나간다”면서 “참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윤 대통령 출근 전 ‘언론 공지’를 통해 도어스테핑 중단 결정을 알렸다.
대통령실은 “최근 발생한 불미스러운 사태와 관련해 근본적인 재발 방지 방안 마련 없이는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면서 “도어스테핑은 국민과의 열린 소통을 위해 마련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공지에 언급된 ‘불미스러운 사태’는 지난 18일 도어스테핑 당시 MBC 기자가 윤 대통령에게 ‘MBC 전용기 탑승 배제’와 관련한 공세적인 질문을 던지고, 대통령 퇴장 후 해당 기자와 대통령실 비서관 간 공개적인 충돌이 빚어진 사건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은 “(청와대 출입기자는) 사회부 기자나 또 검찰 기자처럼 범죄를 취조하는 기자들하고 또, 범죄자를 보도하는 기자들하고 상당히 다르다”며 “특히 대통령이 직접 브리핑 하시는 경우에는 예의범절을 갖추는 것을 가르쳐서 내보낸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당시 MBC 기자가 ‘슬리퍼’를 신고 있다는 점 역시 문제 삼았다.
박근혜 정부 시절 청와대 대변인을 지내기도 한 김 위원은 “제가 대변인 시절에도 대통령이나 비서실장이 인터뷰를 하시는 경우에는 모든 출입기자들이 넥타이도 갖추고 제대로 정자세로 인터뷰를 들었다”며 “대통령은 기자분들에게 전부 다 양복 입고 정식으로 의관을 갖추고 대하지 않았느냐”고 물었다.
그는 “대통령 인터뷰 끝나고 대통령 등 뒤에 대고 소리를 지르는 기자, 이것은 상상할 수 없는 대통령실의 풍경”이라고 일갈했다.
이어 “앞으로 대통령실과 언론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게 된다면 제일 큰 피해는 국민이 입고 나머지는 MBC를 뺀 다른 언론사의 수습기자들도 이 부분에 대해서 상당한 피해를 볼 것이라고 본다”면서 “대통령실에는 출입기자단의 간사단이 반드시 문제로 삼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도어스테핑) 취지를 잘 살릴 수있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재개 여부를 검토하겠다”라고 여지를 남겼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