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 규제와 종합부동산세 인상 등 지난 정부에서의 고강도 다주택 규제에도 주택을 5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가 지난해까지 5년 연속 11만명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뉴스1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주택소유통계 세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주택 5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11만3984명이었다.
5채 이상 다주택자는 2016년 10만8826명에서 2017년 11만4916명으로 11만명선을 넘었다.
이후 2018년 11만7179명, 2019년 11만8062명, 2020년 11만6814명, 지난해 11만3984명으로 11만명대를 유지 중이다.
10채 이상 주택을 소유한 다주택자는 2014년 2만8540명에서 2015년 4만1036명으로 늘어 4만명대에 진입했다.
이후 2016년 4만2292명, 2017년 4만2041명, 2018년 4만2823명, 2019년 4만2868명으로 늘었다.
2020년 4만2670명, 지난해엔 4만1904명으로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4만명대다.
지난해 다주택자 통계를 보면 주택을 △5~10채 소유 7만7257명 △11~20채 2만5640명 △21~30채 6677명 △31~40채 1603명 △41~50채 1032명다.
통계작성 기준 '최다 다주택자'로 분류되는 주택 51채 이상 소유자는 1775명이다.
51채 이상 소유자는 2015년 2907명으로 가장 많았고 2017년 1998명으로 2000명선 아래로 내려왔다.
반면 10가구 중 4가구는 주택이 1채도 없는 무주택가구다.
지난해 무주택가구는 일반가구 2144만8000가구 중 43.8%인 938만6000가구였다. 이는 전년보다 2.1%(18만9000가구) 늘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