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색’ 행안부·서울시 혐의 입증 땐
수사 윗선 확대… 추가 입건 가능성
참사 당일 용산署 평소 인원 근무
‘이태원 압사 참사’를 수사하는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주요 피의자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사의 칼날이 행정안전부와 서울시 등을 향하면서 추가 입건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20일 경찰 등에 따르면 특수본은 지난 19일 박희영 용산구청장과 참사 당시 서울경찰청 상황관리관으로 근무했던 류미진 총경을 불러 조사했다. 21일에는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최성범 용산소방서장도 조사할 예정이다.
특수본이 이 전 서장과 최 서장에 대한 조사까지 진행하면 이날까지 공식 입건된 7명에 대한 소환 조사는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입건된 피의자 중 한 명인 전 용산경찰서 정보계장은 지난 11일 극단적 선택으로 숨져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 처분될 예정이다.
특수본 수사의 또 다른 축은 정보과 보고서 삭제 의혹과 관련해 ‘윗선’으로 지목된 서울경찰청 정보라인을 향하고 있다.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정보부장이 특수본 참고인 조사를 받은 데 이어, 경찰청 특별감찰팀이 박 전 부장에 대한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112 신고 후 보고 및 대응과 관련해 서울경찰청 112상황3팀장 역시 특감팀이 수사를 의뢰했다.
특수본이 지난 17일 압수수색한 행안부와 서울시에 대한 혐의가 입증되면 향후 수사가 두 기관의 윗선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이 장관은 소방노조로부터 직무유기 혐의 등으로 고발돼 피의자 신분으로 입건됐지만, 특수본은 “압수수색은 장관에 대한 고발 사건과 별개”라는 입장이다.
한편 경찰은 핼러윈 기간 이태원 일대 치안 수요 증가를 전망했지만, 참사 당일 용산경찰서 근무자 수는 평소 주말과 비슷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