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GS칼텍스, 2조7000억 투자 MFC 준공...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

입력 : 2022-11-12 01:00:00 수정 : 2022-11-11 14:48:40
여수=김선덕 기자 sdki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GS칼텍스 올레핀 생산시설(MFC) 준공식. GS칼텍스 제공

GS칼텍스가 창사 이래 최대 투자 금액인 2조7000억원을 투자한 올레핀 생산 시설(이하 MFC시설)을 통해 종합에너지기업(Total Energy Company) 도약에 나선다.

 

11일 GS칼텍스는 전남 여수2공장 인근에 위치한 MFC시설에서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MFC시설을 통한 석유화학 분야 확장으로 비정유 부문 비중이 늘어나는 사업구조전환이 가속화돼 유가 등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손익변동성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고 GS칼텍스는 설명했다.

 

아울러 MFC시설은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 및 환경·사회·지배구조(ESG)경영 추진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예정이다.

 

GS칼텍스는 MFC시설 준공을 통해 연간 에틸렌(Ethylene) 75만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50만t, 프로필렌(Propylene) 41만t, 혼합C4유분(Mixed C4) 24만t, 열분해가솔린(Pygas) 41만t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됐다.

 

특히 GS칼텍스는 MFC시설과 기존 생산설비와의 연계 운영을 통한 시너지 창출로 타 석유화학사 대비 경쟁력 우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신규 석유화학 제품군으로 사업영역 확장을 통해 비정유 및 정유 사업간 균형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MFC시설은 기존 석유화학 시설 대비 경쟁력을 갖고 있다. MFC시설은 나프타를 원료로 투입하는 석유화학사의 나프타분해시설(NCC)과는 달리 나프타는 물론 정유 공정에서 생산되는 LPG, 석유정제가스 등 다양한 유분을 원료로 투입할 수 있다.

 

기존 고도화 시설에서 발생하는 석유정제가스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어, 동일 생산 능력을 가진 석유화학 시설대비 에너지사용량을 약 10% 줄일 수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또 나프타 및 석유정제가스를 원료로 활용해 수소를 부가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기존 석유정제공정의 수소 생산을 대체해 LNG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총 7.6만t의 탄소배출 저감이 가능하게 되며, 이는 30년생 소나무 1150만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같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MFC시설 준공은 비정유 사업 비중이 확대되는 사업 다각화와 성장성을 동시에 이루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허 사장은 “향후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적극 추진해 최고 수준의 석유화학 경쟁력을 갖춰 나가게 될 것”이라며 “GS칼텍스는 정유사업에 더해 석유화학사업, 친환경에너지, 자원 재활용까지 포괄하는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준공식에는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을 비롯해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등 GS그룹 및 쉐브론 주요 경영층과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일준 산업부2차관, 김회재 의원, 정기명 여수시장, 김영규 여수시의회 의장 및 유관 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축사를 통해 “GS칼텍스가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설비 투자를 확대해 에너지·화학 산업을 넘어 바이오소재, 수소 등 친환경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 일류기업으로 도약하길 기대한다”며 “기업과 지역이 상생발전하는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해 돕겠다”고 말했다.


여수=김선덕 기자 sdki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