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시가 오산∼용인 민자고속도로 초안에 화성시 구간 지하화 요구가 반영되지 않자 반발하고 나섰다. 환경영향평가 초안의 설계도면에 주민 의견이 거의 담기지 않으면서, 시 입장을 담은 2차 건의문을 국토교통부에 보내 지하화 관철에 나설 계획이다.

5일 화성시에 따르면 오산∼용인 고속도로는 서오산에서 화성과 수원을 거쳐 용인서울고속도로 서수지 톨게이트(TG)까지 17.2㎞를 연결하는 민자고속도로다. 2026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한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건설컨소시엄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대한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화성시는 지난해 해당 고속도로 노선이 병점지역 한 아파트와 93m밖에 떨어지지 않아 소음과 분진 피해가 예상되고, 수원시 구간은 전체 11㎞ 중 8.3㎞가 지하화되는 것으로 설계된 만큼 화성구간 4.3㎞도 지하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수달의 서식이 확인된 황구지천을 가로지르는 교각을 건설하면 하천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설계 변경을 요구했다. 지난해 10월에는 1차 건의문을 국토부에 보낸 바 있다.
하지만 최근 현대건설컨소시엄이 제시한 환경영향평가 초안에는 화성시의 지하화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황구지천 교각과 관련해서도 “야생생물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판단과 함께 설계 변경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다만, 병점지역 아파트와 고속도로 간 거리는 93m에서 126m로 다소 조정됐다.
시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초안 설명회 과정에서 드러난 도면에서는 화성지역 주민의 의견은 대부분 반영되지 않았다”며 “2차 건의문을 국토부에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