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3세대 방산 수출’ 전략 마련해야”
올해 우리나라 방위산업 수출액이 200억달러(약 28조8000억원)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이 3일 발표한 ‘글로벌 방산수출 빅4 진입을 위한 K-방산 수출지원제도 분석과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연말까지 호주,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등과 무기 수출계약에 성공할 경우 올해 방산 수출액이 200억달러를 돌파하게 된다.

한국의 방산 수출액은 올해 들어 이미 100억달러를 돌파해 기존 최고액인 지난해 기록을 넘어섰다. 여기에 호주 레드백 장갑차(50억∼75억달러)와 말레이시아 FA-50 경공격기(7억달러), 노르웨이 K-2 전차(17억달러), 이집트 K-2 전차(10억∼20억달러) 등의 수주에 성공하면 200억달러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국내 방산 수출은 최근 10년간 연간 20∼30억달러 수준에 머물러왔다. 하지만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 등에 따라 무기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인 72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과거 아시아와 북미 중심이었던 한국의 무기 수출시장이 최근 중동, 유럽, 중남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까지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수출 제품도 탄약·함정 중심에서 기동·화력·항공·함정·유도무기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보고서는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정부 간 수출계약(G to G) 제도 운영, ‘패키지 딜’의 다양성 부족, 미흡한 방산 수출금융 지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장원준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가 향후 글로벌 방산수출 4대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수출 품목 다변화, 중소·벤처기업 수출 확대, 수출 주체·방식 다양화 등을 포함하는 ‘3세대 방산 수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