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일 국회에 출석한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사진)이 신당역 스토킹 사건과 관련한 해결책으로 "여성 직원들의 당직을 줄이겠다"고 말한 가운데, 시민들 사이에서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뉴시스에 따르면 김 사장은 20일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 업무보고를 통해 "문제 개선을 통해 안전 확보에 최대한 노력하겠다"면서 " 앞으로 여성 직원에 대한 당직을 줄이고, 현장 순찰이 아닌 CCTV를 이용한 가상순찰 개념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다수 시민은 당직 때문에 스토킹을 당하는 게 아니라며 해법이 잘못됐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집으로 다짜고짜 찾아오는 건 어떻게 막을 것이냐", "사건이 낮에 사건이 일어났으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이냐", "범인이 스토킹해서 위치 파악한 걸 당직을 줄인다고 동선이 은폐되느냐"며 해당 발언을 질타했다.
그러면서 당직 업무에 여성 직원을 줄이는 것이 아닌 "당직 인원수를 늘려서 2인 1조나 3인 1조로 순찰을 하게 해야 한다", "여성 직원도 안심하고 순찰을 돌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또 여성 근무자의 당직을 줄이면 남성 근무자에게 그 피해가 가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스토킹과 살인이라는 문제의 근본부터 잘 파악해서 예방해야 한다. 남성이라고 해서 이런 살인사건의 피해자가 안 되겠는가", “남성 직원이 죽으면 남직원 당직을 없앨 건가”, "남성 직원에 대한 또 다른 역차별"이라는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한 시민은 "문제의 발단이 서울교통공사 남자 직원이 지하철역 여자 화장실에 카메라 설치해서 불법 촬영한 것 아니냐"며 "불법 촬영한 남자 직원에 대한 대책은 없고 엉뚱하게 여자 직원을 당직에서 배제하려 한다"고 했다.
CCTV를 이용한 간접순찰에 대해서도 "이번 사건이 거의 1분 만에 벌어졌다고 하는데 사각지대에서 숨어있다가 일을 저지르면 막을 수 없지 않느냐", "화장실에도 CCTV를 달 것인가" 등의 우려 섞인 목소리가 많았다.
한편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이날 2인 1조 근무 수칙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승객 접점부서 등 현장 안전 대책 ▲사망 사고 관련 조합원 보호 대책 ▲노사 공동 전사적 조직 문화 개선 등을 협의하자고 사측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