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계기로 전기차 배터리 ‘원산지 증명’과 같은 제도를 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광주 SNE리서치 대표는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KABC 2022(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에서 “IRA의 실질적인 경계 대상인 중국 자본을 SCM(공급망 관리)에서 완전히 제외하기란 사실상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IRA에 따라 미국은 북미산 전기차에만 대당 최대 7500달러(약 10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내년부터 북미 지역이나 미국과 FTA(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배터리 광물을 40% 이상 사용해야 하고 2027년에는 이 비율이 80% 이상으로 올라간다. 배터리 부품의 경우 북미 지역에서 생산한 부품을 내년부터 50% 이상, 2029년에는 100%를 사용해야 한다.
김 대표는 현재 미국에서 기아 EV6와 현대차 아이오닉5와 같은 4만달러대의 테슬라 모델3만 보조금 적용을 받아 3만달러대로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연평균 53% 성장했다. 올해 1~7월 전기차 판매량은 521만900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연말까지 지난해 대비 42% 늘어난 956만4000대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배터리 수요도 함께 증가해 지난 5년간 연평균 51%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국내 배터리사들의 매출은 2021년 270억 달러(약 37조원)에서 2025년에는 1210억 달러(168조원)로 연평균 45%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이날 연사로 나선 최승돈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개발센터장(전무)은 LG에너지솔루션이 업계 최초로 하이니켈 파우치형 배터리에 차세대 배터리 공정 ’CTP’(Cell To Pack)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CTP 공정은 통상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단위 중 중간단계인 모듈을 제거하는 고도화 공정 기술이다. 모듈이 차지해온 공간만큼 더 많은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고,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