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민 10명 중 6명,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 못 들어봐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9-19 19:47:39 수정 : 2022-09-19 19:47:38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한치매학회 설문조사…‘경도인지장애 용어 들어본적 없다’ 58%
“우리나라 경도인지장애환자 254만명…10~15% 매년 치매로 악화”
“민간의 참여 확대 유도, 치매 전문가 육성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
치매.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치매 환자가 인구 고령화 등으로 급증하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은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조차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민간의 참여 확대를 유도하고, 치매 전문가 육성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대한치매학회가 한국갤럽과 함께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벌인 결과 발표에 따르면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지금까지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58%에 달했다.

 

또한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지 전혀 알지 못하는 응답자가 73% 였으며,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위해 검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고 학회는 덧붙였다.

 

경도인지장애는 아직 치매라고 할 수 없지만, 인지기능 검사에서 같은 나이, 같은 교육 수준, 같은 성별의 정상인보다 인지 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의 10~15%가 매년 치매로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한 셈이다.

 

학회에 따르면 국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2021년 기준 254만명에 달한다. 또 65세 이상 인구 중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67만명이다.

 

대한치매학회 양동원 이사장은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 추세 속에 65세 이상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10년 동안 3.2배로 급증했다”면서 “알츠하이머로 악화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여야만 적극적인 치매 예방 및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직도 경도인지장애는 질병 분류상 경증질환(F코드)으로 묶여 있어 경도인지장애가 중증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둔 분류체계를 새로 마련해야 한다는 게 학회의 주장이다.

 

이와 함께 학회는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에 대해서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호진 정책이사는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2013년 11조7000억원에서 2060년에는 43조2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치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치매에 대한 사회적 비용과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적절한 의료적 개입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