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완전자율주행 버스·드론택시 2025년 상용화

입력 : 2022-09-19 19:50:00 수정 : 2022-09-19 18:59:1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발표

2022년 말 세계 세 번째로 ‘레벨 3’ 첫 선
2027년에 완전 자율주행 승용차 출시
수도권서 이르면 2025년 UAM서비스
김포·인천 등 거점 공항 ‘버티포트’ 구축

정부가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는 완전 자율주행차와 ‘드론 택시’라고 불리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의 상용화를 위한 청사진을 내놨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대한 선제 대응 전략으로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했다. 윤석열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모빌리티 시대 본격 개막’을 이행하기 위한 일종의 시간표인 셈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9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토부는 올해 말 일본과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부분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고, 2025년 완전자율주행 버스·셔틀, 2027년 완전자율주행 승용차를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35년에는 자율차가 신차 보급률의 절반을 넘는 대중화 단계에 접어들게 되고, 지난해 3000명에 육박했던 교통사고 사망자도 1000명 이하로 감소할 수 있다는 게 국토부의 구상이다.

국토부는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에 부합하는 제도를 선제적으로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완전자율주행차의 운행에 맞춰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별도의 성능 인정 제도를 운용할 예정이다.

 

수도권에서는 이르면 2025년부터 하늘을 나는 새로운 교통수단이 상용화 서비스에 들어간다. 처음에는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특정 노선을 오가다가, 이후에는 택시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2030년 부산엑스포를 개최할 경우 방문객을 대상으로 UAM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우선 김포와 인천 등 주요 거점 공항에 버티포트(수직 이착륙장)를 구축하고, 이후 철도역과 복합환승센터 등 주요 거점에도 버티포트를 설치한다. 2025년 상용화를 위해 사업자 요건, 운수권 배분, 보험 제도 등을 선제적으로 완비하고 기존 법규 적용을 최대한 배제하는 특례를 과감히 적용할 예정이다.

택배 등 물류 서비스에도 로봇과 드론이 전격 도입된다. 국토부는 우선 배송 수요가 많은 도심에는 배송로봇을, 도서·산간 지역에는 드론을 통해 각각 신속한 배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법·제도 기반을 마련한다. 로봇과 드론이 다닐 수 있도록 각종 관련법 개정도 추진한다.

진공 상태에서 자기부상 원리로 이동하는 하이퍼튜브는 2032년까지 국가 연구개발(R&D)을 마치고 전북 등 테스트베드에서 상용화를 위한 시험을 진행한다. 2040년에는 시속 800∼1200㎞의 하이퍼튜브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30분 안에 화물을 운송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는 모빌리티 서비스 다각화, 대중교통 서비스 질 개선, 민간의 혁신 서비스 발굴에도 주력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제공하는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는 교통난이 심각한 신도시와 심야 시간대로 각각 확대한다.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통해 인근 지역의 교통 수요를 분석해 각각의 수요자에게 최적화한 교통수단을 연계하는 방식이다.

개인형 이동수단(PM)법 제정, 관련 인프라 확충,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개인형 이동 수단을 활성화하고, 공유차량(카셰어링) 관련 규제를 합리적으로 완화하는 등 ‘퍼스트·라스트 마일 모빌리티’ 정책도 강화한다. 내년부터는 미래 모빌리티와 기존 철도·버스 등을 연계할 수 있는 모빌리티 인프라인 미래형 환승센터(MaaS Station) 사업도 신규로 추진한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모빌리티 시대 모든 정책의 초점은 정책의 수요자인 일반 국민과 기업 입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성과를 만들어내느냐에 맞춰야 한다”며 “로드맵이 즉각적인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법률 제·개정과 관련 예산 편성이 필요한 만큼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다희 '이기적인 비율'
  • 이다희 '이기적인 비율'
  • 고민시 '상큼 발랄'
  • 초아 '하트 여신'
  • 신현빈 '사랑스러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