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양두구육·신군부 발언 놓고
“당원들에 불쾌감 안겼다” 취지
경찰 ‘성상납 의혹’ 李 소환조사
향후 기소의견 송치 여부 관심
윤리위 판단 상당한 영향 예고
李 SNS에 “무리수 둘 것, 역시나”
국민의힘 중앙당 윤리위원회가 18일 국회에서 긴급 전체회의를 열었다. 이준석 전 대표 추가 징계 여부에 대한 결정이 임박해서다. 이 전 대표의 ‘성상납 관련 증거인멸교사’ 의혹을 두고 경찰 판단이 나오기 전 이미 ‘당원권 정지 6개월’의 중징계를 결정한 윤리위가 이번엔 이 전 대표의 ‘제명’을 추진할지가 관건이다. 전날 이 전 대표를 소환 조사한 경찰이 향후 사건을 기소 의견으로 송치할지 여부도 윤리위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엔 ‘양두구육’ ‘신군부’ 등 발언이 쟁점
윤리위가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논의를 하는 근거는, 그의 언행이 당원들에게 불쾌감을 안겼다는 취지의 제소다. 이 전 대표는 당내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인사들과 정면충돌을 불사하며 ‘양두구육’(양 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팖. 겉과 속이 다름)이라는 사자성어를 동원했다. 그는 윤핵관 그룹을 군부 쿠데타 세력인 ‘신군부’에 빗대기도 했다.
이날 윤리위 회의는 공교롭게도 전날 이 전 대표가 성상납 증거인멸교사 의혹에 대한 경찰 소환조사를 받은 데 이어, 이날 오전 윤 대통령이 영국, 미국, 캐나다 순방차 출국한 이후 열렸다.
이 전 대표는 이를 두고 페이스북에 “‘오비이락’(까마귀 날자 배가 떨어짐. 공교롭게 일이 겹쳐 의심을 삼)이길 기대한다”고 적었다. 이 전 대표는 “수사기관(경찰)과 상당한 시간 전부터 조율해서 17일 오전 조사 일정을 확정했는데, 이 일정은 조사가 시작될 때까지도 당내 다른 인사나 언론은 입수하지 못했다”며 “공교롭게도 윤리위만 18일 또는 19일로 윤리위 개최 일정을 조정한다는 이야기가 그 시점부터 흘러나왔다”고 했다. 다른 글에선 “오늘도 다시 한번 윤핵관의 이익을 위하여 그들(윤리위)이 무리수를 둘 것이다. 역시나”라고 했다.
이와 관련,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지난달 22일 6차 윤리위 개최 이후 위원들이 이달 28일 개최될 회의에 앞서 안건들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요청이 있었다”며 회의 일정을 둘러싼 확대해석에 선을 긋고 나섰다.

◆경찰, 이 전 대표 12시간 고강도 조사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전날 오전 10시쯤 이 전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오후 10시까지 12시간에 걸쳐 조사했다. 이 전 대표의 출석은 공소시효 만료를 일주일 정도 앞둔 시점에 이뤄졌다. 추가 소환조사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이 전 대표가 김성진 아이카이스트 대표로부터 2013년 두 차례 성상납을 받았다는 의혹을 포함해 2015년쯤까지 각종 접대를 받은 의혹을 집중적으로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는 지난해 12월 이 전 대표가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이던 2013년쯤 박근혜 전 대통령 알선을 명목으로 사업가인 김 대표로부터 성접대와 900만원 상당의 화장품 세트, 250만원 상당의 명절 선물 등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후 가세연을 비롯한 일부 시민단체가 이 전 대표를 고발하면서 경찰 수사가 시작됐다.
김 대표도 이 전 대표가 성접대와 금품·향응을 받고 그 대가로 박 전 대통령과의 만남을 주선했다고 주장, 최근까지 6차례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성상납의 알선수재죄 공소시효(7년)는 지났으나, 김 대표가 이 전 대표에게 마지막으로 명절 선물을 줬다고 주장한 시기인 2015년 9월23∼25일을 기준으로 하면 공소시효는 일주일가량 남아 있다.
경찰은 이 전 대표가 김철근 전 당대표 정무실장을 시켜 성상납 의혹을 제보한 아이카이스트 직원에게 ‘7억원 각서’를 써주는 대신 성상납은 없었다는 취지의 사실 확인서를 받았다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 김 전 실장은 지난 4월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 조사를 받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