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픽업용 콘셉트 전기차 첫선
탑승자 체형 감지한 맞춤형 시트
캐리어 거치대 등 신기술 내놓아
조수석을 대신해 놓인 캐리어 거치대, 트렁크 공간을 빼고 넓힌 탑승 공간, 고객 맞춤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램프….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UX(사용자 경험) 스튜디오 서울’에서 ‘UX 테크데이 2022’ 이벤트를 개최하고 오는 2025년 이후 내놓을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모습을 공개했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차량 개발 전 과정에 걸쳐 고객을 초청해 UX에 대한 의견을 듣고 상품에 반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차량 UX 연구개발 전용 공간이다.
초기 콘셉트 개발을 위해 나무로 만든 ‘스터디 벅(사전 제작 모형)’과 기술이 실제로 구현된 ‘엔지니어링 벅’이 전시됐다. 여행객을 실어 나르는 ‘공항 픽업용 PBV’ 콘셉트로,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다.
엔지니어링 벅 상단에 글자로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램프가 눈에 띄었다. 고객이 탑승하거나 내릴 때 개인화한 메시지를 내보낼 수 있는 기능이다. 내부 조수석 옆에는 캐리어 3개 정도를 넉넉하게 실을 수 있는 거치대가 설치됐다. 탑승 공간은 최대 5명이 앉을 수 있게 트렁크 공간까지 넓혔고, 성인 3명이 나란히 앉을 때 어깨가 부딪히지 않도록 가운데 좌석을 앞으로 당길 수 있는 장치도 설치했다. 이 밖에 승객석에 맞춰 실내 등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등 25가지의 신기술이 반영됐다.
현대차그룹이 고객 중심의 차량 사용자 경험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하는 연구개발 결과물도 함께 전시됐다.
미국 MIT 미디어 랩과 공동으로 개발한 ‘반응형 PBV 시트 콘셉트’는 시트가 다양한 승객의 몸을 감지해 다양한 체형에 맞게 시트 모양을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차량 탑승 시 운전, 업무, 휴식 등 상황에 따라 조명과 시트 각도, 디스플레이와 조작계가 사용자에게 최적화한 형태로 바뀌는 ‘모드 변환 콕핏’을 전시했다. 현대트랜시스는 교통약자를 위한 생체 신호 분석 기술 등 탑승객이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맞춰 실내 환경을 최적화한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을 선보였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제품통합개발담당 부사장은 “PBV 등 새로운 모빌리티 환경에서도 고객들에게 최고의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UX 개발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영국 시장에서 처음으로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와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올해 1∼8월 현대차·기아의 영국 자동차 시장 내 판매량 비중은 12.3%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점유율 8.9%와 비교해 3.4%포인트 높아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