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ETF 수익률 35% 넘어
인버스 ETF는 27%대 평가 손실
국내 증시 배당주펀드 상대적 선전

미국발 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킹달러’ 현상으로 재테크에 명암이 갈리고 있다.
달러 가치 상승과 연계한 상품이나 현금 흐름을 보장하는 배당주 등은 인기를 끄는 반면 금리 상승 충격에 대비한 대출 상품은 예상외로 맥을 못 추고 있다.
1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설정액 10억원 이상 펀드의 수익률을 집계한 결과 이달 15일 기준으로 달러선물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35%를 넘어섰다. 달러선물 ETF는 달러선물지수를 기초로 달러화 가치의 상승에 따라 수익을 내는 상품으로, 이 중에서도 레버리지 상품은 지수 상승분의 2배 수익을 낼 수 있다. 상품별로 보면 ‘키움KOSEF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미국달러-파생형](합성)’은 36.1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삼성KODEX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미국달러-파생형]’은 35.93%, ‘미래에셋TIGER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달러-파생형]’은 35.64%의 수익률을 각각 보였다.
달러화 가치가 하락해야 이득을 보는 달러선물 인버스 ETF는 손실을 냈다. ‘키움KOSEF미국달러선물인버스2X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미국달러-파생형]’은 -27.87%, ‘미래에셋TIGER미국달러선물인버스2X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달러-파생형]’은 -27.84%, ‘삼성KODEX미국달러선물인버스2X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미국달러-파생형]’은 -27.82%의 평가 손실을 냈다.
국내 증시에서는 배당주와 관련 펀드가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다.
국내 배당주펀드 267개의 총 설정액은 연초보다 4875억원 늘어난 8조9285억원(이달 16일 기준) 규모다. 주식시장 부진에 배당주펀드 평균 수익률은 -12.02%로 손실을 내고 있지만, 다른 국내주식형 펀드 수익률(-21.44%)에 비하면 선방했기 때문이다.
한편 물가를 잡기 위한 미국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면서 한국은행의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지만, 금리 상승 충격에 대비한 대출 상품은 예상외로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안심전환대출이 출시된 지난 15일 주금공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 등 6대 시중은행에 2406건(금액 2386억원)이 접수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