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 억제제’ 이용해 내성 생긴 암세포만 선택적 사멸 가능 확인”

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원인과 새로운 치료 목표물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표적항암제를 투여할 때 암 세포 증식·이동성을 높여 전이를 유발하는 ‘시티딘 탈아미노효소’(CDA) 억제제를 이용해 내성이 생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미랑·김선영 박사 공동연구팀은 단일세포 유전체분석 기술을 이용해 ‘성형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기전을 규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고 최근 밝혔다.
전체 암 사망자의 22.7%에 달하는 등 사망률이 가장 높은 폐암은 암세포 크기·형태에 따라 크기가 작은 소세포 폐암과 비소세포 폐암으로 구분된다.
전체 폐암 환자의 80∼85%를 차지하는 비소세포 폐암 가운데 5% 정도에서 ALK 유전자 변이로 인한 ALK 양성 비소세포 폐암이 발병하는데, 주로 50대 이하 연령대나 비흡연 폐암 환자에게서 발견된다.
ALK 양성 비소세포 폐암은 표적항암제를 투여하면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이지만, 지속해서 투여할 때 항암제 내성이 생겨 재발하거나 재발 이후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한다.
연구팀은 단일세포 유전체 기술을 통해 항암제 내성 세포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해 내성 원인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표적항암제를 투여할 때 암 세포 증식·이동성을 높여 전이를 유발하는 ‘시티딘 탈아미노효소’(CDA)가 암세포 내에서 활성화해 항암제를 회피하고 증식하면서 내성이 생긴다는 것이다.
또한 CDA 억제제인 테트라하이드로우리딘 또는 CDA 유도 대사를 표적으로 하는 5-formyl-2‘deoxycytidine(5fdC)가 CDA 발현이 높은 항암제 내성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것도 규명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CDA 억제제를 이용해 내성이 생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미랑 박사는 “CDA 억제제를 이용해 내성이 생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항암제 내성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국제저널인 ‘실험 및 분자 의학(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온라인판에 지난달 23일자로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