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나사, 블랙홀 소리 첫 공개…“천상의 아름다움” VS “오싹하다” 엇갈린 반응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8-24 16:30:39 수정 : 2022-08-24 17:20:03

인쇄 메일 url 공유 - +

NASA는 지구에서 약 2억4000만 광년 떨어진 페르세우스 은하단 중심에 있는 블랙홀의 음향을 담은 34초 분량의 영상을 지난 22일(현지시각) 트위터에 올렸다. 가디언 캡처

 

미국 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우주의 블랙홀 소리가 처음으로 공개되자 전문가와 누리꾼들의 다양한 반응이 잇따랐다.

 

NASA는 지구에서 약 2억4000만 광년 떨어진 페르세우스 은하단 중심에 있는 블랙홀의 음향을 담은 34초 분량의 영상을 지난 22일(현지시각) 트위터에 올렸다. 

 

앞서 NASA는 지난 5월 유튜브에 같은 영상을 올리며 “우주에 소리가 없다는 세간의 오해는 우주 대부분이 기본적으로 진공이고 음파를 전달할 매질이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됐다”며 “하지만 은하단에는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은하를 둘러싸고 있는 엄청난 양의 가스가 있어 음파 전달체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블랙홀 소리 데이터는 약 20년 전인 2003년에 NASA의 찬드라 X선 관측소의 천문학자들이 파악했다.

 

이후 연구자들은 블랙홀에서 방출한 압력파가 은하단의 뜨거운 가스에 잔물결을 일으키고, 이것이 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NASA는 “음향화 작업을 통해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만들어보기로 했다”며 “음향 신호를 57, 58옥타브로 조정함으로써 사람의 청력 범위 안에서 소리를 재합성할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NASA가 제공한 블랙홀 소리가 실제 블랙홀 옆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블랙홀 소리를 들은 사람들은 각기 다른 평가를 하며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영국 켄트대 마이클 스미스 교수는 “인간의 귀가 그런 음파를 감지할 정도로 민감하지는 않다”며 “(블랙홀에) 음파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완전히 합리적이지만, 우리가 들을 수 있으려면 많은 가정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음향화 프로젝트를 지휘한 킴벌리 아르칸드는 영화 글래디에이터 등에 참여한 유명 작곡가인 한스 짐머와 관련해 “블랙홀 소리는 기분을 완전히 높여주는 한스 짐머의 아름다운 음악”이라고 표현했다.

 

한편 트위터 등에서는 누리꾼들의 “정말로 아름답다”, “천상의 아름다움”이라는 평가가 잇따르면서도 “나사가 내놓은 블랙홀 소음은 지옥의 소리”라며 “방금 나온 새로운 장르. 우주 호러”라는 반응도 있었다.


임미소 온라인 뉴스 기자 miso3949@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