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부금융협회는 4940억원 규모(원금 기준)의 상각 대상 채권을 자율 소각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소각 행사는 2017년 시효완성채권을 소각한 이후 2018년과 지난해에 이어 4번째로 진행됐다.
협회는 취약 계층의 재기를 돕기 위해 대부금융회사 29곳이 자율적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29개사는 △골든캐피탈대부 △나이스제2차대부 △나이스제7차대부 △대한채권관리대부 △두루드림대부 △리드코프 △베리타스자산대부 △비앤엠에셋대부 △샤인캐피탈대부 △신안어소시에이츠대부 △씨엠피자산관리대부 △아이엔비자산관리대부 △앤알캐피탈대부에스엠에이엠씨투자대부 △엔에스에셋대부 △엠메이드대부 △오케이파이낸셜대부 △와이엘대부 △유에셋대부 △인케어파트너스대부 △제니스자산관리대부 △제이에스제1차대부 △채권추심전문엘씨대부 △프라미스대부 △피엔케이에이엠씨대부 △피엘씨대부 △한국채권관리대부 △한빛자산관리대부 △해진에셋대부 등이다.
협회는 지난 12일 참여 의사를 밝힌 29곳의 위임을 받아 4만6128명에 대한 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양도했고, 캠코는 해당 채권을 소각 처리했다.
소각된 채권은 장기간 연체돼 회수가 어렵다고 판단한 채권이다. 주로 파산·면책채권(3만2296명), 시효완성채권(7562명), 사망채권(5718명), 기타(552명) 등이다.
임승보 대부금융협회장은 “국내외 경제 상황이 악화하는 요즘, 금융 취약계층 고충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자 올해도 자율적으로 채권 소각을 진행했다”며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개별 채권 소각 여부는 추후 캠코가 운영하는 ‘온크레딧’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