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요즘 시선 집중인 인기 드라마에는 자폐증 변호사가 등장한다. 여느 사람 못지않게, 아니 그보다 훨씬 맡은 바를 훌륭하게 해낸다. 어쩌면 ‘여느 사람 못지않게’ 이런 표현도 벌써 차별을 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고 있는 건지 모른다. 그런데 그 유능한 변호사는 담당 사건보다 주위의 편견을 극복하는 게 또 하나의 일이고 더 힘들다. 법정에서 상대 검사는 자폐증 변호사의 한계를 들어 공격하고 우연히 만난 회사 동료의 지인은 외모만 보고 무조건 동료의 보호를 받는 장애인으로 취급한다. 변호사라는 전문직인데도 이런저런 편견의 벽에 갇혀 휘청거리는데 그렇지 않은 자폐증 환자들은 얼마나 다양한 차별의 시선을 받고 있는 걸까? 그걸 고스란히 함께 겪어야 하는 부모 마음은 얼마나 찢겨나갈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든 그 드라마가 선한 영향력을 주고 있는 건 틀림없다. 문득 장애아를 둔 한 어머니의 인터뷰가 떠오른다. “평범하게 대해줬으면 좋겠어요. 좀 더 바란다면 따뜻한 시선으로 봐 주고요. 항상 추운 아이들이니까요.”

역삼동에 있는 한 교회에는 장애인들이 운영하는 카페가 있다.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심어 주기 위해 아름다운 기회를 준 것이다. 그런데 아름다운 기회는 그들에게 준 게 아니라 평범한 우리에게 준 것이다. 바로 편견의 벽을 깰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들은 민첩하게 움직였고 커피 맛도 훌륭했고 카페 안은 항상 청결했다. 커피 값이 좀 저렴하다는 것 외에 대형 커피 전문점과 다를 게 없었다. 사람들은 그 카페를 이용하면서 그동안 막연한 편견의 벽에 갇혀 있었다는 걸 몹시 부끄러워하고 미안해했다.

한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커피 전문점에는 장애인 한 명이 직원으로 채용되어 일하고 있다. 보일 듯 말 듯 어색한 위치에 놓여 있는 팻말에는 ‘장애인이 근무하고 있습니다’라고 쓰여 있다. 보일 듯 말 듯 한 위치는 나름 따뜻한 배려였다. 고객들한테는 이해의 시선으로 너그럽게 봐주기를 부탁하는 것이고 당사자인 장애인의 눈에는 잘 뜨이지 않게 해 행여 마음을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애인에게도 동등한 취업의 기회를 주고 있는 그 대기업을 무한 신뢰하게 되었고 덩달아 커피 맛도 좋게 느껴졌다. 실제로도 최고의 맛이다. 먼저 손을 내밀어 베풀면 상대방도 호응하는 부메랑의 법칙을 그 커피 전문점에서 보고 배운다.

장애인을 단지 평범하게 대하고 따뜻하게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격려와 위로가 된다면 그렇게 해야 된다. 어렵지 않은 일이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했다. 개인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홀로 살 수 없으며, 사회를 형성하여 끊임없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어울린다는 뜻이다. 독일 철학자 니체는 “함께 침묵하는 것은 멋진 일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멋진 일은 함께 웃는 것이다”라고 했다. 우리는 함께 어울려 살아갈 때 더 많이 웃고 더 많이 행복해진다.


조연경 드라마작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