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우장균 YTN 사장이 자신을 ‘문재인 대통령의 총선 당시 공보팀장’이라고 표현한 YTN 소속 기자들을 고소했다. 언론사 대표가 자사 소속 기자들을 고소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일각에서는 우 사장이 윤석열 정부에서 전 정권의 색깔을 지우려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5일 경찰 등에 따르면 최근 마포경찰서 사이버범죄수사팀은 YTN 기자 11명에게 우 사장의 고소 사건과 관련해 소환을 통보했다.

사건의 발단은 치열한 대통령 선거 기간이었던 지난 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변상욱 전 YTN 앵커는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와 대담을 하면서 “이재명 후보는 (지지율이) 계속 올라갔어야 하는데 못 올라가고 떨어졌다는 거는 뭔가 꺼내 드는 카드들이 안 먹히고 있다는 뜻인데”, “사실 50일 안 남은 상황에서 그렇게 하면 안 되고 이제 갖다 붙여야 됩니다. 자기(이재명) 쪽으로 확실하게 끌어와서 붙여놔야 하는데. 왔다 갔다 이제는 그럴 상황은 아닌데”라고 발언했다.
이런 변 전 앵커의 발언을 편파적이라고 판단한 YTN 현직 기자 11명은 변 전 앵커에 대해 ‘더는 YTN을 욕보이지 말고 조용히 떠나라’는 성명을 내고, 사퇴를 촉구했다. 그리고 얼마 뒤 언론사 사장이 자신이 속한 기자들을 고소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세계일보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이 글 내용 중 우 사장이 문제 삼은 부분은 자신을 ‘2012년 총선 당시 문재인 캠프 공보팀장’이라고 적시한 내용이다. 게시글 후미에 기자들은 ‘변씨의 인터뷰를 접하다 보니 변씨와 친분이 있는 YTN 우장균 사장(2012년 총선 당시 문재인 캠프 공보팀장)이 떠오른다’고 적시했다.
경찰은 우 사장을 고소인 신분으로 조사했으며, 게시글을 작성한 기자를 불러 이 글의 표현이 사실과 맞는지와 글을 작성한 과정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한 언론이 2012년 총선 당시 문재인 전 대통령의 화려한 캠프 실무진을 소개한 기사에서 우 사장은 문재인 캠프의 공보팀장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언론은 (문재인) 캠프에서 뛰고 있는 실무진의 면면들도 화려하다며 우선 공보팀장을 맡은 우장균씨는 YTN 해직기자로 지난해까지 한국기자협회장을 지냈다고 적시했다. 하지만 우 사장은 자신이 공보팀장을 맡은 적이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안팎에서는 우 사장의 이번 고소건과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색깔 지우기가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취임한 우 사장의 임기는 3년이다.
국회의 한 관계자는 “언론의 자유를 누구보다 잘 아는 기자 출신의 언론사 대표가 문재인 캠프 특보라는 사내 게시글 때문에 소속 기자 11명을 무더기로 고소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문재인 캠프 경력을 감추려는 이유가 친정부 인사로 전향하고 싶은거 아니냐”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