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여사 옹호하기 위해 학계와 학교의 역사 부정하고 수준 끌어내린 것”
“국민대의 비상식적 결론 옹호하는 교육부에도 연구윤리 책임 물을 것”
안민석 의원 “피하면 피할 수록 의구심 증폭”
임홍재 국민대 총장, 외부 일정으로 의원들 면담 요청에 미용답

국민대가 김건희 여사의 논문을 ‘표절 아님‘이라고 결론 내린 것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국민대를 방문해 해당 판단을 내린 위원회 위원 명단과 해당 보고서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호·김용배·안민석·강민정·문정복·서동용 의원은 국민대 본부관 앞에서 “결정 확정 권한이 있는 국민대 총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비상식적인 결과를 추궁하고 결과 보고서와 조사위원회 명단 공개를 촉구한다”며 취지를 밝혔다.
이들은 “김 여사가 작성한 네 건의 논문들에 면죄부를 발부한 이번 발표는 학교구성원의 자존심을 짓밟고 교육기관으로서 최소한의 논리도 버린 참사”라고 주장했다.
이어 “학계에는 확고한 연구윤리 규칙과 처벌이 존재해왔다”며 “국민대는 김 여사 박사학위 논문보다 한 학기 빨리 발표된 문대성 전 의원의 박사학위 논문에 대해표절 판정을 내린 바 있고, 박순애 교육부 장관은 자기 논문 복제를 했다가 두 차례투고 금지 징계를 받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대가 김 여사를 옹호하기 위해 학계와 학교의 역사를 부정하고 스스로 수준을 끌어내린 것”이라고 질타했다.
의원들은 “국민대의 이런 비상식적 결론을 옹호하는 교육부에도 연구윤리 감독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연구윤리를 지켜야 할 국민대가 자행한 불공정의 이유가 철저히 규명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교육위원회 간사인 김영호 의원은 “대한민국의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국회 교육위원들의 면담을 총장이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상황에 매우 큰 우려와 걱정을 표시한다”며 “국민대 총장은 면담에 응하고 조사과정을 낱낱이 공개하라”고 했다.
안민석 의원도 “2016년 10월 국정감사 중 정유라 씨의 입시 부정에 관련된 이대측의 해명을 듣기 위해 국회의원들이 갑자기 이대를 방문했을 때 당시 총장과 부총장, 보직교수들이 나와서 의원들 질문에 답변한 바 있다”며 "피하면 피할수록 의구심만 증폭된다”고 지적했다.
이날 임홍재 국민대 총장은 외부 일정으로 의원들의 면담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앞서 전날 국민대는 김건희 여사 논문 4편에 대해 “2007년에는 연구윤리 기준이 없었다”는 취지로 논문 표절이 아니라고 결론내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