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3일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을 속도 있게 추진하는 것에 대해 “이준석 욕하다가 문자가 카메라에 찍히고 지지율 떨어지니 내놓은 해법은 이준석의 복귀를 막는다는 판단”이라고 일갈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당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면 현 이준석 대표를 중심으로 한 당 지도부 체제는 임기가 종료된다고 3일 밝혔다.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전국위 소집 관련 브리핑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가 만들어지는 즉시 전임 지도부는 해산되고, 자동으로 이 대표도 해임된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과에 이 대표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비상이 아니라고 해서 지난 3주 동안 이준석은 지역을 돌면서 당원 만난 것밖에 없다”며 “당헌당규도 바꾸고 비상 아니라더니 비상을 선포한다. 사퇴한 최고위원이 살아나서 표결을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이 ‘비상 상황’을 이유로 비대위 전환을 추진하며 당헌 개정 등에 나선 상황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용피셜’하게 우리 당은 비상 상태가 아니다”라며 “내부총질하던 당 대표가 바뀌니 참 달라졌고 참 잘하는 당 아닌가. 계속 이렇게 해야 한다”며 윤석열 대통령과 권성동 원내대표 간의 텔레그램 문자 노출 사태를 빗대 비꼬기도 했다.
‘용피셜’은 ‘용산+오피셜’을 합한 말로 보인다.
한편 서 의원은 이 대표를 비롯해 당 안팎에서 지도부 해산에 대한 불만이 제기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대표 측에서 기존 최고위 결정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의 법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그는 이 대표가 법적 대응에 나설 경우에 대해 “사실 좀 걱정된다”며 “이 대표가 명예롭게 사퇴하고 향후 앞으로 자기 정치 진로 등을 계속할 방안을 찾아서 매듭지어야 한다고 지도부 몇 분께 말씀드린 적 있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