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두고 ‘밥상 물가’ 잡아야
정부가 강력한 리더십 발휘할 때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작년 같은 달보다 6.3% 올랐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6.8%) 이후 최고치다. 공업제품(8.9%)과 개인서비스(6.0%)가 물가 상승을 주도했고 농축수산물(7.1%), 전기·가스·수도(15.7%)가 상승폭을 키웠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 5.4%에서 6월 6.0%로 치솟은 뒤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했다. 가파른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물가가 국민의 삶을 고통스럽게 하는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다.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기대 심리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 한국은행의 ‘7월 소비자 동향조사’에 따르면 향후 1년의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4.7%로 전달보다 0.8%포인트나 올랐다. 한은은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진 가운데 고유가 지속, 수요 측 물가 압력 증대 등으로 앞으로도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6%를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7∼8% 오름세를 나타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통계청은 연간 물가 상승률에 대해 “5%는 넘을 것 같다”고 했다.
국민의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7.9%나 올랐다. 한은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된 상황이어서 민생 고통은 더욱 커질 것이다. 정부는 고물가로 타격받는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생활고를 덜어주는 데 만전을 기해야 한다. 무엇보다 농산물 값이 폭염과 장마로 인해 기록적인 폭등세를 보여 우려를 낳는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어제 국무회의에서 “계속되는 폭염으로 농작물 피해가 우려되고, 예년에 비해 일찍 찾아오는 추석으로 서민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며 관계부처에 하반기 민생물가 안정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기획재정부는 농축수산물 등 생활물가 안정화와 민생 여건 개선을 위한 추석 민생안정 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정부는 다음달 추석 연휴를 앞두고 ‘밥상 물가’를 진정시키지 못하면 국정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물가 급등은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침체를 유발하고 임금 상승을 압박하는 악순환을 불러올 수 있다. 정부는 고물가가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차단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물가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 고물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