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제주 국제학교 입학 대기 사태

입력 : 2022-08-03 01:00:00 수정 : 2022-08-02 18:47:3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코로나 이후 해외 유학보다 인기
합격하고도 대기 학생 500명 육박
신규 학교 설립 답보… “정원 확대를”

제주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 입학이 ‘바늘구멍’이다. 합격하고도 입학을 못 하는 대기자만 500명에 육박하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해외 유학보다는 내국인 입학이 가능한 제주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로 수요가 몰리기 때문이다.

2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와 국제학교 등에 따르면 입학 대기자는 노스런던컬리지에잇스쿨 제주(NLCS) 143명,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 제주(SJA) 127명, 브랭섬홀아시아(BHA) 96명, 한국국제학교 제주캠퍼스(KIS) 90명 등 456명이다.

무더기 입학 대기 사태는 코로나19 이후 충원율이 급등하면서 예견됐다. 2021년 8월 말(학기 시작일) 기준 학교별 충원율은 NLCS 제주(정원 1508명, 현원 1484명) 98.4%, SJA 제주(정원 1254명, 현원 1054명) 84.1%, BHA(정원 1212명, 현원 994명) 82%다. 3개 학교 평균 충원율(정원 3974명, 현원 3532명)은 88.9%로 나타났다.

학생 수 900여명인 KIS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4개 학교 초·중학교의 경우 충원율이 100%에 달해 입학 대기자가 몰려 있다. 인근 일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입학 대기 학생들이 몰리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입학정원을 늘리지 못한 데다 신규 국제학교 설립도 2016년 이후 답보 상태다. 그동안 학교설립 승인 권한을 갖고 있는 제주도교육청이 신규 학교 설립과 입학정원 확대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국제학교 설립 지원’을 공약으로 내건 김광수 제주교육감이 당선되면서 학교 설립과 입학정원 확대 기대감은 높다. 기존 국제학교들은 “7곳의 국제학교가 조성될 수 있음에도 2016년 이후 신규 국제학교가 들어서지 않고 있다”며 “점점 누적되는 입학 수요를 수용할 학교가 부족해 입학 대기 학생이 증가했다. 입학 정원을 확대해야 학교와 학부모 모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수년이 걸리는 신규 학교 설립보다는 기존 학교 교사진 확보와 건물 증축 등으로 입학정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세계일보 취재 결과 각 학교들이 입학 정원을 늘려 달라고 제주교육청에 요청했거나, 신청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입학정원 증원 신청 규모는 총 900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입학정원이 확대되면 내년에는 무더기 입학 대기 사태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교가 입학정원 증원 신청을 했다”며 “정원 확대는 국제학교 설립·운영심의위원회 심의와 교육부 동의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