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위 의장 서병수 원칙론 고수 반대
이준석 대표측 반발… 내홍 격화 우려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직 사퇴를 선언한 권성동 원내대표가 1일 선수별 의원모임과 의원총회를 잇달아 개최하고 진통 끝에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당헌·당규’상 해석 문제와 비대위 체제를 추인할 전국위원회 의장인 서병수 의원의 원칙론 고수 속에 의총을 통한 무력 돌파를 시도한 것이다. 이준석 대표 측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오히려 성급한 비대위 체제 전환이 당 내홍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민의힘 양금희 원내대변인은 이날 의총 직후 “89명이 참여한 결과 당헌·당규 96조 최고위원회 기능 상실로 당 비상상황이 발생해 안정적인 당 역량과 비상상황을 위한 비대위를 한다는 부분에 대해 논의를 했다”며 “비상상황이라는 부분에 극소수 의원이 이야기하고 모두 동의해 이 부분 결정이 있었다”고 밝혔다. 사실상 비대위 체제 전환을 결의했다는 것이다.

권 대표는 의총 모두발언에서 “당이 비상상황에 직면했다. 돌파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의총 전 릴레이 간담회에서 현재 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법은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이라는 다수의 목소리를 들었다. 의원 여러분의 총의와 용단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초선·재선·3선 등 선수별 회동을 가진 뒤 의총을 열어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
초선 의원들은 이날 당 비대위 체제 전환에 공감했다. 이날 초선 모임 운영위원인 노용호·서범수·이주환·전주혜 의원은 오전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결론 내렸다고 전 의원이 전했다. 전 의원은 “지도부가 비대위 전환 쪽으로 방향을 잡았고, 지도부 결정에 적극 공감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반면 중진 의원들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비대위 문제를 두고 갑론을박을 이어갔다. 3선 김도읍 의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 실망 지점을 제대로 파악하고, 거기서 해법을 찾아야지. 간판만 달라진다고 한들 국민들께서 책임을 묻고 질책을 하는 문제가 해소가 안 된다면, 비대위든 어떤 체제든 국민들이 이해하겠느냐”고 말했다.
이날 친이(친이준석계) 측은 권 대표 사퇴를 촉구하며 반발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고민이 많을 땐 당원 가입을 하면 된다”는 짧은 말과 함께 온라인 가입 링크를 공유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