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1일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병역특례 적용 논란 관련해 “(BTS가) 군에 오되, 연습시간을 주고 해외에서도 공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국익 측면에서 BTS의 군 복무 면제를 위한 대중문화예술인 병역특례를 확대해야 한다는 취지의 요구를 받자 “국방부에서 (이 문제를) 검토했는데 공정성과 형평성, 병역자원 감소 등 원칙적 문제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기본적으로 (BTS의) 군 복무에 대해서 ‘한반도에 전쟁 났나’ 이렇게 볼 수도 있지만 많은 사람이 군에 복무하는 그 자체를 굉장히 높게 평가하기에 오히려 그것이 인기에 도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실상 BTS 병역특례 확대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셈이다.

성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 업무보고에서 “BTS 이 사람들만 빼주자는 게 아니다”라며 “제2, 제3, 제4의 BTS가 계속 나오도록 국가적 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BTS가 빌보드에 1회 우승을 하면 경제적 효과가 얼마인지 아느냐. 1조7000억원이다. 계산을 해보니까 10년 동안 BTS가 약 56조원 정도의 국가적 부를 넓히는 데 도움을 줬다”며 “평창 동계올림픽 때 관광객이 28만명 들어왔는데, BTS 공연 때는 관광객 18만7000명이 들어왔다”고 했다. BTS 사례를 들며 국익 차원에서 대중문화예술인 병역특례 확대를 추진할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다.
성 의원은 “병역 면제의 기준을 잡았을 때는 우리 젊은 청년들이 빌보드나 아메리칸 어워드에서 우승하리란 상상을 못 해서 빠진 것”이라며 “이런 데 가서 우승하고 국가적으로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사람에 대해 배제하는 게 맞느냐, 아니면 그냥 이름 없는 국제 콩쿠르에 가서 우승해도 병역 면제를 받는 게 균형에 맞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이기식 병무청장은 “형평성이란 건 이 병역 대체역(대체복무)에 있어서 기존에 있는 거 하고 지금 의원이 말하는 대중문화예술인을 또 추가하는 건 전체적 병역특례의 틀을 깰 수 있어서 우리가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앞으로 점진적으로 이런 대체역을 우리도 감소시켜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