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판다의 ‘대나무 사랑’ 600만년 전부터 이어져왔다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7-02 14:17:39 수정 : 2022-07-03 16:25:3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美 연구팀, 고대 판다 화석서 대나무 잡는 ‘6번째 가짜 엄지’ 확인
“가짜 엄지, 대나무 먹을 때 외에 이동 시 몸무게 받쳐주는 역할”
대나무를 먹는 판다. Sharon Fisher 제공. 연합뉴스

 

대나무하면 저절로 떠오르는 동물은 ‘판다’다. 이는 먹이의 99%가 대나무인 특이한 식성 때문이다. 

 

그런데 이처럼 판다가 대나무를 좋아하는 특이한 식성이 무려 600만년전부터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자연사 박물관’의 왕 샤오밍 박사 연구팀은 고대 판다 조상에게도 현재와 같은 ‘6번째 손가락’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년과 2015년 중국 남서부 윈난성에서 발굴했던 약 700만~600만 년 전 중신세 후기에 서식했던 고대 판다의 한 속(屬)인 ‘아이루라르크토스’(Ailurarctos)의 화석이 가짜 엄지손가락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오늘날 판다의 것보다도 더 길었음을 발견했다.

 

손목에서 엄지처럼 돌출된 뼈는 대왕판다가 가진 여섯 번째 손가락의 가장 오래된 증거가 됐다.

 

대나무를 잡고 걷는데 이중으로 이용되는 가짜 엄지. Natural History Museum of L.A. County 제공. 연합뉴스

 

판다의 가짜 엄지 존재는 100여년 전에 처음 알려졌으나 화석이 많지 않아 10만∼15만년 전까지만 기록이 확보된 상태였다.

 

왕 박사는 “대왕판다는 대나무숲 깊은 곳에서 고기와 산딸기 대신 영양은 낮지만 아열대숲에 많았던 대나무를 먹는 쪽으로 옮겨갔다”면서 “대나무를 씹어먹을 수 있는 크기로 잘게 쪼개기 위해 줄기를 단단히 붙잡는 것은 많은 양의 대나무를 먹는 데 가장 중요한 적응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이 화석을 통해 현대 대왕판다의 가짜 엄지가 외형적으로 덜 발달된 형태를 보이는 이유도 규명했다.

 

아이루라르크토스는 가짜 엄지가 대왕판다보다 길고 직선형인데 비해 대왕판다는 짧은 갈고리형이어서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가짜 엄지를 대나무를 잡고 뜯어먹을 때는 물론 다음 먹이를 찾아 걸어갈 때 몸무게를 지탱하는데도 이용하는 과정에서 긴 뼈가 짧은 갈고리형으로 진화하게 된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공동 저자인 애리조나주립대학 인류기원연구소의 데니스 수 부교수는 “500만∼600만 년이면 판다가 더 긴 가짜 엄지를 갖는데 충분한 시간이지만, 이동할 때 몸무게를 받쳐줘야 하는 진화적 압력이 가짜 엄지를 (걷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 (대나무를 잡을 때) 유용할 수 있게 짧고 강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왕 박사는 “육식성 조상에서 진화해 대나무만 먹는 종으로 바뀐 판다는 많은 장애를 넘어야만 했을 것”이라면서 “손목뼈에서 나온 마주 볼 수 있는 ‘엄지’는 판다가 넘은 장애 중 가장 놀라운 진화일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장희령 '청순 매력'
  • 장희령 '청순 매력'
  • 에스파 카리나 '반가운 손인사'
  • 아이브 안유진 '상큼 발랄'
  • 성해은 '순백의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