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그린워싱’ 논란에… 환경부담지수 사용 중단한다

입력 : 2022-06-30 06:00:00 수정 : 2022-06-29 22:15:03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SAC 발표 지수, 객관성 입증 도마 위
NCA “마케팅 활용 땐 벌금 등 제재”
염색된 알파카 실. 알파카 섬유는 히그 지수가 매우 높다. 게티이미지뱅크

‘그린워싱’(친환경으로 눈속임하는 것) 지적을 받은 패션브랜드 연합이 환경부담 요인을 나타내는 수치인 ‘히그 소재지속가능성지수’(The Higg Materials Sustainability Index: 히그MIS) 사용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2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27일 지속가능한의류연합(SAC)은 소비자에게 공표되는 이 지수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의류 소재를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환경부담 요인을 나타내는 수치인 히그 지수는 SAC가 2011년부터 발표해 왔으며, 지난해 이를 발전시킨 히그MSI를 개발했다. 히그MSI는 제조업체의 물 사용, 온실가스 배출, 화석 연료 사용 등을 평가해 구성된다.

 

이번 SAC 조치는 2주 전 노르웨이 소비자청(NCA)이 스웨덴 패션브랜드인 H&M의 히그MSI 사용을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H&M은 자사 웹사이트에서 의류 655벌을 대상으로 옷마다 이 지수를 확인할 수 있게 해 놨다. 예컨대 한 면바지를 클릭하면 “이 면바지는 보통의 재료보다 88% 적은 물을 사용했고,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은 14% 적다”고 설명돼 있다.

 

NCA는 H&M과 노르웨이 아웃도어 브랜드 노로나가 공개한 이 같은 데이터가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면서 이들 기업을 향해 “9월1일 이후에도 이 지수를 마케팅에 활용하면, 벌금 등 제재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히그 지수가 ‘그린워싱’에 불과하다고 주장해온 환경운동가들은 SAC 발표를 반기는 입장이다. 지속가능 컨설팅 업체인 에코에이지의 필리파 그로건 컨설턴트는 “시간으로 따지면 이 지수는 낮 12시에서 오후 3시까지만 평가한 것에 불과하다”며 “제품이 얼마나 지속 가능한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24시간, 즉 제품이 수명을 다하는 때까지 모든 부분을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미나 라즈비 SAC 최고경영자(CEO)는 지수가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인정하며 히그 지수에 대해 독립적인 제3자 검토를 받겠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상큼 발랄'
  • 정소민 '상큼 발랄'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